KB자산운용, 휴머노이드로봇 산업 투자세미나 개최

입력 2025-04-03 16: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열린 ‘RISE ETF 휴머노이드로봇 세미나‘에서 한재권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사진=KB자산운용)
▲2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타워에서 열린 ‘RISE ETF 휴머노이드로봇 세미나‘에서 한재권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사진=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은 2일 서울 여의도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주제로 투자 세미나를 열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15일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앞두고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미래를 조망하고 관련 시장 성장성과 투자 기회를 분석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기존 로봇 산업과의 차별점과 주요 기업들의 기술 발전 방향, 산업 전망 등을 깊이 다뤘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특정 작업만 수행하는 기존 산업용 로봇과 달리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제 역할을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재권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모방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한 로봇”이라며 “최근 원가 절감과 기술 고도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로봇의 상업적 활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주요 기업들의 최신 연구와 개발 동향, 상업적 도입 사례도 소개됐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제조업과 의료,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KB자산운용은 로봇 산업이 인공지능(AI) 기술과 결합해 장기 성장 테마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은 전기차 자율주행 기술에 로봇을 접목하며 빠른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유사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노아름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AI와 로봇 기술이 결합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향후 글로벌 산업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메가 트렌드”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투자자들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관련 투자 기회를 모색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69,000
    • +0.22%
    • 이더리움
    • 2,294,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477,700
    • -0.17%
    • 리플
    • 3,001
    • -0.79%
    • 솔라나
    • 194,900
    • +1.04%
    • 에이다
    • 890
    • +0%
    • 이오스
    • 907
    • +2.14%
    • 트론
    • 354
    • +0%
    • 스텔라루멘
    • 351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20
    • +1.75%
    • 체인링크
    • 18,290
    • +1.22%
    • 샌드박스
    • 372
    • +3.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