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의 역사적 판결...김동연 경기지사, '빛의 혁명' 승리 선언

입력 2025-04-04 16: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 지사, 경제 위기와 정치적 분열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한민국 제안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4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선고에 대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4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선고에 대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판결에 대해 '빛의 혁명'의 승리를 선언하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김 지사는 민주공화국의 원칙을 지켜낸 국회와 헌재에 감사를 표하며, 경제 위기와 국민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한민국의 시작을 촉구했다.

특히 김 지사는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 4일 "마침내 국민이 이겼다. '빛의 혁명'이 승리했다"고 환영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경기도청에서 헌재 판결 이후 곧바로 입장 발표를 통해 "민주공화국의 원칙과 상식을 분명하게 세워준 국회와 헌재에 감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12월 3일 대한민국을 파괴하려던 권력은 국민의 심판 앞에 무너졌다. 국민 한분 한분이 이 나라의 진정한 주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란수괴는 파면했지만 갈 길이 멀다. 우리가 가야 할 길은 지난해 12월 3일 이전으로의 회복이 아니다. 이제 정말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다시는 민주공화국을 파괴하는 망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라의 규범과 시스템을 바로 세워야 한다. 내란의 공범자들, 폭력의 선동자들, 그들을 책임지게 해야 한다. 민주공화국을 지키려는 모든 정치인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당장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경제와 민생의 위기 앞에 모두가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소비는 줄고, 투자는 마르고, 일자리는 사라지고 있다"며 "국민은 각자도생의 벼랑 끝에 몰려 있는데 트럼프 발 관세 폭풍까지 밀어닥쳤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광장의 분열과 적대를 끝내고 국민적 에너지를 모아 경제대전환을 이뤄내야 한다"며 "'빛의 혁명' 이후 대한민국은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 국민 한분 한분의 존엄과 권리가 존중받고 실현되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가야 한다. 저도 절박하게 그리고 겸손하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버이날 선물이었는데…포장 뜯은 '민낯' 투썸 케이크에 당황 [해시태그]
  •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범죄 피해 입었을 때 빠르게 회복하려면…‘범죄 피해자 구조금 제도’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814,000
    • +1.76%
    • 이더리움
    • 2,573,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1.56%
    • 리플
    • 3,023
    • -0.49%
    • 솔라나
    • 209,500
    • +0.96%
    • 에이다
    • 950
    • +0%
    • 이오스
    • 1,149
    • +17.85%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369
    • -0.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300
    • +1.36%
    • 체인링크
    • 19,570
    • +0.93%
    • 샌드박스
    • 388
    • +1.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