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5일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위험목 제거와 조림 등 예방 사업을 조속히 실시하고 우기 전까지 산사태 등 토사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산림청이 산불피해지역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울산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 지역을 점검했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러면서 “평가 결과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1972세대, 3274명이 임시 대피 중이다. 임시대피시설에서 임시숙박시설로 옮긴 이들은 2400여 명이다.
관련 뉴스
현재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925억 원의 국민 성금이 모였으며 인명‧주택 피해자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 300만 원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산불로 인한 트라우마 등 심리 회복을 위해 진행된 심리지원 건수는 약 8000건이다.
정부는 15일까지로 예정된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달 말까지 복구 계획을 세울 계획이다.
고 본부장은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더 나아가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과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달 말까지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한 시기인 만큼 관계기관의 철저한 산불 예찰 및 감시와 함께 국민 여러분의 산불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