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자동차 관련주 타격 불가피…원화 강세로 외국인 유입 기대”[증시 긴급진단]

입력 2025-04-07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06 18:1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증권사·자산운용사 전문가 6명 설문
코스피, 2400선 저항에 단기부진 예상
조기 대선·관세 협상·美 외 경기 변수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까지 국내 증시를 뒤흔들 이벤트가 연달아 발생했다. 국내외 정치·경제적 충격으로 투자자들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피해가 예상되는 업종이 뚜렷해 단기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원화 강세 흐름이 주식시장 하방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코스피, 지지부진 지속 …자동차 등 대형 수출주 직격탄

증권가는 코스피 지수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은 주식시장에 호재"라면서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에 대형 수출주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 센터장은 4월 코스피 지수 예상 밴드로 2360~2560포인트(p)를 제시했다.

미국발(發) 상호 관세로 자동차를 비롯한 대형 수출주들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 행정부의 높은 관세율 부과로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면서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기업들은 국내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미국에 판매하기 어려워지면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전 기업들의 주가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윤석열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총괄본부장은 “원전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원전에 대한 대내외 관심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도체·조선·바이오' 실적개선 업종 주목…무역비중 낮은 기업 수혜

관세는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겠지만, 반도체와 제약·바이오, 조선 등은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 부장은 “반도체와 제약·바이오는 올해 1분기에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며 "상호관세 영향에서 한발 빗겨 있어 '비중 확대' 전략을 유지한다”고 짚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주는 최근 주가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최광혁 센터장은 “인터넷, 게임 등 비무역업종은 수혜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도 “2~3분기 중 관세 관련 협상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에 따라 관세 피해 업종의 반등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잦아든 데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업종으로는 유통과 건설 등을 꼽았다. 최 센터장은 “내수 부양책이 추진되면 유통 등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 본부장은 “정권 교체 후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해 국회에 계류된 개발이익환수법, 재건축촉진법 등의 국회 통과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이외 국가의 경기 흐름과 대선 정국에서의 경기부양책 등이 증시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상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미국을 제외한 중국, 유럽, 중동 등에서 새로운 글로벌 경기 흐름을 형성한다면 국내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김 본부장은 “조기 대선 과정에서 후보별로 정책 등과 관련한 모멘텀도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화 약세 해소에 외인 복귀 기대…금값 강세 이어갈 듯”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원화 강세와 미국 경기 둔화 우려에서 비롯된 달러화 약세가 동시에 나타날 경우, 환차익을 노리고 국내 증시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경민 부장은 “이달 코스피는 미국발(發) 관세 충격으로 2430선에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면서 “1차 반등 목표는 2750선으로, 국정 공백이 메워지면서 원·달러 환율 약세가 이어진다면 글로벌 증시보다 상대적 강세를 띨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최근 달러 대비 원화 약세 강도는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고 이 과정에서 외국인 대량 매도가 출회됐다”며 “원화가 5%포인트 이상 일방적 약세를 보였던 만큼 강세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표 안전자산 금값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로 강세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관측됐다. 최 센터장은 “금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단기적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할 가능성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등을 둘러싼 안전자산 선호와 달러 가치 하락으로 인한 대체 자산 수요로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자금 빨아들이는 美…한국시장 투자는 ‘찬바람’만 [2025 ‘코피티션’ 中]
  • '애플 천하' 日 태블릿 시장, 삼성전자, 2%대 점유율 탈출할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조4405억'…"2분기 최고 실적 또 경신"
  • 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급락’…환차손·증시 불안 여파
  • 이커머스 시장 균열 오나…‘2%p 격차’ 네이버 맹공에 쿠팡 점유율 변화 주목
  • 구단 역사 쓴 한화의 '선발 8연승'…KBO 역사도 쓸까?
  • 새색시 에일리, 남편 최시훈과 결혼 여운 여전히…유재석부터 인순이, 손연재, 거미까지 총출동
  • '골때녀' 원더우먼, 월드클라쓰에 5-0 대승…'한일전 에이스' 마시마 멀티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2: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615,000
    • +0.42%
    • 이더리움
    • 2,561,000
    • +0.2%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2.85%
    • 리플
    • 3,159
    • -0.79%
    • 솔라나
    • 214,000
    • +0.52%
    • 에이다
    • 987
    • +0%
    • 이오스
    • 938
    • -2.49%
    • 트론
    • 352
    • -0.85%
    • 스텔라루멘
    • 377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970
    • -0.14%
    • 체인링크
    • 21,140
    • +3.27%
    • 샌드박스
    • 421
    • -0.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