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미국·독일 등 우주 강국과 활발한 국제 행보

입력 2025-04-09 09: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우주항공청)
(사진제공=우주항공청)
우주항공청 윤영빈 청장은 미국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개최중인 2025 스페이스 심포지엄(Space Symposium)에서 우주 강국들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활동을 이어 나갔다.

우주청은 9일 미국 항공우주청(NASA) 및 독일 우주청(German Space Agency at DLR)과 양자 회담을 추진했다. 특히 이번 활동은 우주청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NASA 기관장(대행)을 직접 만나 협력 방향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우주청은 NASA와 공동성명서, 아르테미스 연구협약 체결로 협력 기반을 공고히 다진 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등 우주 탐사 분야의 구체적 협력 아이템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고 있다.

우주청은 9일 재닛 페트로(Janet E. Petro) NASA 청장 대행과의 양자 회담을 통해 2월 두바이에서 열린 M2M(Moon to Mars) 워크숍을 계기로 NASA에 제안했던 아르테미스 연구 협력 의제를 고위급 차원에서 다시 한번 확인했다. 또 지난해 9월 양 기관 간 체결된 L4 협약에 대한 후속 조치 차원에서 우주청은 NASA와 L4 탐사선 관련 탑재체 개발, 광통신 인프라 구축과 같은 실질적 협력 구체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를 계기로 양 기관은 미국의 달·화성 탐사 계획과의 밀접한 연계를 통한 협력 강화는 물론 한·미 우주 협력이 우주과학탐사를 넘어 정책, 산업, 안보 등의 영역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같은 날 우주청은 독일 우주청(German Space Agency at DLR)과 협력을 공고히 하기 위한 기관 간 약정(Interagency Agreement)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L4 태양권 관측, 위성항법, 우주 안전, 우주 탐사 및 지구관측 등 다분야에서의 협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우주 기술 및 산업 발전을 촉진할 계획이다. 특히 우주잔해물 문제와 우주 교통관리는 독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로 최근 우주 탐사에 나서면서 우주 교통관리와 안전에 대해 관심이 커진 한국과 협력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이번 스페이스 심포지엄을 통해 한국이 미국, 독일 등 우주 강국들과의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면서 “우주청은 앞으로도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한국의 우주기술이 글로벌 무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62,000
    • -0.41%
    • 이더리움
    • 2,623,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2.65%
    • 리플
    • 3,141
    • -0.1%
    • 솔라나
    • 208,900
    • -1%
    • 에이다
    • 994
    • -0.9%
    • 이오스
    • 1,015
    • -1.17%
    • 트론
    • 356
    • +0.28%
    • 스텔라루멘
    • 38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500
    • -1.69%
    • 체인링크
    • 20,190
    • -1.75%
    • 샌드박스
    • 401
    • -3.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