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KODEX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하락 방어력 입증”

입력 2025-04-10 09: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하락장에서 기존 ‘KODEX 미국S&P500 ETF’ 대비 하락 리스크 완충 효과를 나타냈다고 10일 밝혔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가 상장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9일까지 미국S&P500 지수는 13.6%가량 하락했다.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 이후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다.

이에 미국S&P500지수를 추종하는 환노출형 KODEX 미국S&P500은 12.7%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수익률은 –8.7%에 그쳤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는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동시에 하락장에서는 옵션을 활용해 손실을 약 10%까지 완충하고 상승장에서는 약 16.4% 수준까지 수익을 목표로 한다. 아시아 최초의 버퍼형 ETF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는 S&P500 5650포인트를 기준으로 –10.2% 수준인 5075포인트가 가 버퍼 하단이다. 수익률 상단을 의미하는 ‘캡’ 수준은 16.4%인 6575포인트다.

즉 내년 3월 말에 S&P500이 5650~5075포인트 범위에 있으면 상장일 기준 수익률 0%, 5650~6575포인트 사이에 있을 경우 상승률을 최대 16.4%까지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된다.

S&P500이 5650포인트 이하로 하락한다면 10.2%를 제외한 손실률로, 6575포인트 이상 상승한다면 수익률 캡인 16.4%가량으로 확정되도록 설계됐다.

이처럼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수익 구조는 1년 단위로 설정돼 있지만,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상 언제든 매매할 수 있다.

또 옵션 만기가 1년인 만큼 옵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투자자 매매 시기와 매수, 매도 가격에 따라 수익 구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홈페이지에서 버퍼형 ETF 누적 수익 추이, 종료일까지 보유 시 추구할 수 있는 ETF 잔여 캡, ETF 잔여 버퍼 등 지표들을 매일 안내하고 있다.

김선화 삼성자산운용 ETF운용2팀장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 이슈 등 국내외 정치, 경제의 불확실성 고조로 자산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손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어형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버퍼형 ETF가 기간 종료일이 다가올수록 추구하는 수익구조에 가까워지며 하락 완충 효과는 더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며 “하락 리스크를 대비하려는 보수적인 투자자 분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546,000
    • -0.1%
    • 이더리움
    • 2,624,000
    • -1.43%
    • 비트코인 캐시
    • 528,000
    • -1.12%
    • 리플
    • 3,167
    • -1.68%
    • 솔라나
    • 215,000
    • -1.74%
    • 에이다
    • 1,015
    • +0.1%
    • 이오스
    • 1,056
    • +7.43%
    • 트론
    • 351
    • -2.23%
    • 스텔라루멘
    • 397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00
    • +2.63%
    • 체인링크
    • 20,940
    • -2.56%
    • 샌드박스
    • 434
    • -0.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