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강원영서 등에 기상가뭄…최근 전국 강수량 평년比 101.3%

입력 2025-04-1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월 가뭄 예·경보

▲지난해 8월 28일 가뭄으로 강원 강릉 사천저수지가 저수율 29.1%로 떨어지면서 일부가 바닥을 드러냈다. 강릉 지역 7개 저수지 가운데 저수율이 가장 낮은 사천저수지의 전년 같은 기간 저수율은 98.6%였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지난해 8월 28일 가뭄으로 강원 강릉 사천저수지가 저수율 29.1%로 떨어지면서 일부가 바닥을 드러냈다. 강릉 지역 7개 저수지 가운데 저수율이 가장 낮은 사천저수지의 전년 같은 기간 저수율은 98.6%였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최근 6개월 경기·강원영서 일부 지역 등에 기상가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 101.3%(261.7mm) 수준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10일 이러한 내용의 4월 가뭄 예·경보를 발표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101.3% 수준인 261.7mm로 경기(서울 포함 229.4mm·112.4%)를 비롯해 강원영서(204.4mm·92.4%)·충북(224.3mm·99.5%)·충남(229.8mm·95.4%)·경북(194.2mm·87.2%) 일부지역에 기상가뭄이 발생했다.

올해 4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대체로 적고, 5월은 평년과 비슷하며, 6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대체로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평년과 비슷한 범위는 4월 기준 70.3~99.3mm, 5월 79.3~125.5mm, 6월 101.6~174.0mm 수준이다.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83.2%로 평년(78.6%) 대비 105.9% 높고 지역별로도 평년 대비 99.4%(경북)~109.7%(전남)로 평년 수준 이상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 대비를 위해 정부는 영농기를 앞두고 하천수를 저수지에 채우는 등 용수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한국농어촌공사와 시·군이 보유하고 있는 지하수 관정, 양수장비(양수기, 송수호스 등)를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조처했다.

또한 5~6월 모내기에 용수 공급 차질이 없도록 강수량과 저수율 등 가뭄 상황을 지속 관리할 계획이다.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19곳과 용수댐 12곳의 저수량은 각각 예년의 127.8%, 101.0% 수준으로 정상 공급 중이다. 다만 일부 내륙지역은 예년보다 저조한 강수량으로 '관심' 또는 '주의' 단계로 관리 중이며 인천 중·옹진, 전남 진도 등 일부 섬지역은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관계부처와 함께 가뭄 상황을 점검하면서 매월 가뭄 예·경보를 발표하고 가뭄 대비 대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민의힘 후보 등록 김문수 “한덕수 잘 모실 것”...선대위원장 제안
  • '뽀빠이' 故 이상용, 영정 속 환한 미소⋯10일 빈소 마련 '향년 81세'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트럼프 “인도·파키스탄, 전면적·즉각적 휴전 합의”
  • 한덕수 측, 후보 교체 무산에..."한 후보, 국민·당원 뜻 수용"
  • '살림남2' 김상혁, 사고로 떠나보낸 父 생각에 눈물⋯산소에서 만난 특별한 인물
  • '상승 vs 하락'…서학개미, '우왕좌왕' 장세 심화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834,000
    • +0.22%
    • 이더리움
    • 3,563,000
    • +8.53%
    • 비트코인 캐시
    • 582,500
    • +0.34%
    • 리플
    • 3,360
    • +1.73%
    • 솔라나
    • 246,400
    • +3.01%
    • 에이다
    • 1,140
    • +4.59%
    • 이오스
    • 1,300
    • -2.03%
    • 트론
    • 371
    • +0.82%
    • 스텔라루멘
    • 435
    • +3.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00
    • +2.31%
    • 체인링크
    • 23,630
    • +5.44%
    • 샌드박스
    • 504
    • +6.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