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김문수‧홍준표, 탄핵 반대로 헌정 파괴 옹호…오세훈은 비겁해”

입력 2025-04-12 10: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당내 경선 경쟁자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이 탄핵 과정에서 보인 태도를 비판했다.

안 의원은 12일 자신의 SNS에 ‘헌법을 배신한 자들은 범죄혐의자 이재명에게 필패입니다’라는 글을 올리고 이처럼 말했다.

안 의원은 “대통령에 대한 탄핵 결정은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헌법재판소의 헌법적 결단이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안 의원은 “저는 탄핵에 찬성했다. 국회의원의 한 사람으로서 헌법 수호의 책임을 다했다”라며 “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국민 앞에 홀로 당당히 섰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반면 김문수 전 장관, 홍준표 전 시장은 탄핵을 끝까지 반대하며 권력의 헌정 파괴를 사실상 옹호했다”라며 “이는 헌법 수호의 책무를 스스로 저버린 행위이자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오세훈 시장은 더욱 비겁했다”라며 “초기에는 탄핵의 필요성을 시사했지만 정치적 유불리 앞에서 곧 입장을 흐리며 애매하게 선회했다. 책임 있는 정치인의 모습은 없었고 기회주의적 계산만이 보였다”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이런 사람들이 이재명을 심판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명분 없는 위선이다. 헌법을 외면한 자들에게 정의를 말할 자격은 없다”라며 “헌법 가치를 배신한 자들이 대통령이 될 수 없다. 그리고 결국 이재명에게 이길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헌법은 권력의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국민과 나라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라며 “누가 헌법을 지켰고 외면했는지 국민은 모두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헌법을 배신한 자들에게는 미래가 없다”며 “범죄혐의자 이재명에게 필패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금융, 보험사 날개 달고 도약…“비은행 강화 속도 낸다” [우리금융 동양ㆍABL생명 인수]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000,000
    • +0.83%
    • 이더리움
    • 2,606,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28,500
    • +0%
    • 리플
    • 3,146
    • -0.91%
    • 솔라나
    • 213,000
    • -1.34%
    • 에이다
    • 1,006
    • +0.8%
    • 이오스
    • 1,061
    • +9.27%
    • 트론
    • 351
    • -1.96%
    • 스텔라루멘
    • 392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3.09%
    • 체인링크
    • 20,860
    • -1.74%
    • 샌드박스
    • 430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