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뉴욕증시, 미·중 무역 대립 속 숨 고르기…다우 0.38%↓

입력 2025-04-16 0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백악관 “공은 중국에…협상 나서야”
美 금융사 호실적, 하락 폭 제한
국제유가, 수요 위축 우려에 약세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가 15일(현지시간) 미·중 통상 갈등에 주목하면서 숨 고르기에 돌입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55.83포인트(0.38%) 내린 4만368.96에 폐장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9.34포인트(0.17%) 밀린 5396.6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8.32포인트(0.05%) 떨어진 1만6823.17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내용을 파악하려는 분위기에서 매도세가 우세했다. 다우지수가 전날까지 2거래일 동안 900포인트가량 상승한 후라 차익실현 매물도 나오기 쉬웠다. 반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분기 실적을 발표한 미국 은행들의 주가 상승이 시장 심리를 지지하면서 하락 폭을 제한했다.

백악관은 미·중 무역 마찰 해결을 위한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중국 측의 접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공은 중국 쪽 코트에 있다. 중국은 우리와 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다른 나라의 차이점은 규모가 훨씬 크다는 것뿐이다”며 “또 중국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을 원하고 있다. 즉 모든 나라가 원하는 것, 미국의 소비자를 원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의 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미·중 양국이 여전히 강경한 태도를 굽히지 않고 있으며 대립의 끝이 보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이 부과한 최대 145%에 대한 보복으로 국내 항공사에 미국 보잉 항공기 추가 납품을 받지 말라고 지시했다.

다만 이날까지 발표된 미국 대형 금융사 6곳의 실적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돈 것은 증시의 하락 폭을 제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관세 정책이 변동성을 키우면서 주식 거래 부문 수익이 크게 늘었다.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경영진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점도 호재로 작용해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주 일부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90일간 상호 관세를 중단한 데 이어 전자 관련 제품을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14일에는 자동차 관세를 둘러싼 구제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역 상대국과의 협상이 진전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반영됐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 지수(VIX)가 8거래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장면이 연출 되기도 했다.

이날 발표된 3월 미국 수입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1% 하락해 다우존스 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4월 뉴욕 연준 제조업 경기지수는 -8.1로 시장 예상(-12.4)만큼 악화하지 않았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완화된 것도 시장의 호재로 작용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77포인트(2.49%) 하락한 30.12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세계 수요 위축 전망에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20달러(0.33%) 내린 배럴당 61.33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6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0.21달러(0.32%) 밀린 배럴당 64.67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날 발표한 4월 석유 시장 월간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석유 수요 증가량 전망치를 기존 하루 103만 배럴에서 73만 배럴로 하향 조정했다. 2026년 석유 수요 증가율이 올해보다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국제금값은 반등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6월물 금은 전일 대비 14.1달러(0.4%) 오른 온스당 3240.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관세 정책과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선물에 대한 매수세가 우세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약 3bp(1bp=0.01%포인트) 하락한 4.335%를 기록했습니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약 1bp 오른 3.841%를 나타냈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 가치가 6거래일 만에 상승했다. 주요 10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블룸버그 달러 스폿지수는 전장보다 0.35% 상승한 1234.32를 기록했다. 한때 0.4%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629,000
    • -0.88%
    • 이더리움
    • 2,634,000
    • -1.75%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2.94%
    • 리플
    • 3,166
    • -1.89%
    • 솔라나
    • 213,700
    • -2.46%
    • 에이다
    • 1,004
    • -1.57%
    • 이오스
    • 1,060
    • +6.96%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392
    • -2.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00
    • +2.29%
    • 체인링크
    • 21,110
    • -1.86%
    • 샌드박스
    • 430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