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래불사춘' 햇살 없는 제조업…2분기 반도체·車 등 '흐림'

입력 2025-04-1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연구원,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발표
2분기 시황·매출·수출·내수 모두 100 밑돌아…부진 지속 우려
경영 부정적 요인 ‘내수 부진·재고 누증’이 절반 넘어…고환율도 부담
트럼프 관세 정책 대응에 제조업체 10곳 중 4곳은 "별다른 대책 없다"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차체 공장에서 아이오닉 5가 생산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차체 공장에서 아이오닉 5가 생산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한국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이 4분기 연속 경기 부진이 예상되는 등 봄이 왔음에도 햇살을 보기 힘들 것으로 전망됐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신산업, 중소업체의 어려움이 지속하며,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매출 회복도 더딜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제조업체 10곳 중 4곳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대응 전략에 대해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답하는 등 현재의 위기 상황 타개도 쉽지 않아 보인다.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17~28일 148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Business Survey Index)’를 16일 공개했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 대비 경기가 개선(증가)된다는 전망을, 0에 근접할수록 경기가 악화(감소)한다는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조업 전망 시황 BSI는 91, 매출 BSI는 95를 기록했다. 두 지표 모두 4분기 연속 기준치인 100을 밑돌며, 제조업 전반의 경기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을 나타냈다.

내수(94)와 수출(96) 역시 전망치가 전 분기보다 높지만 100을 여전히 밑돌았고, 설비투자(96)와 고용(97) 역시 기준치에 못 미쳤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ICT부문과 신산업을 포함한 주요 산업에서 부정적인 전망이 계속됐다. ICT부문은 매출 전망 BSI가 95, 신산업은 96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준치를 넘지 못했다. 특히 중소업체의 경우 매출 전망 BSI가 94로 나타나, 전 분기(87) 대비 다소 개선됐음에도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반면 대형업체는 매출 전망 BSI가 102로, 유일하게 기준치를 초과하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기대감을 나타냈다.

▲2025년 2분기 주요 항목별 전망 BSI (자료제공=산업연구원)
▲2025년 2분기 주요 항목별 전망 BSI (자료제공=산업연구원)

업종별 전망에서는 디스플레이(111), 바이오·헬스(101), 화학(100) 등 일부 업종만이 기준치를 상회하며 비교적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주요 산업인 자동차(92)는 전 분기와 동일한 보합세를 기록했고, 이차전지(87)는 오히려 전 분기 대비 하락하며 우려를 키웠다. 반도체 역시 91로 기준치를 밑돌았으며, 철강(92)과 섬유(90) 등 전통적인 제조업 분야에서도 여전히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한편, 올해 1분기 실제 제조업 현황을 나타내는 BSI는 더욱 심각하다. 시황 BSI는 78, 매출 BSI는 77로, 전 분기 대비 각각 6포인트와 10포인트 크게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내수(79)와 수출(86)이 모두 부진했으며, 경상이익(80) 역시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나타냈다. 설비투자도 95로 정체 상태를 유지했고, 재고도 99로 기준치를 하회하며 전반적인 제조업체들의 경영 악화를 보여줬다.

한편, 현 경영활동의 주요 부정적 요인으로는 응답 업체의 절반 이상(52%)이 '내수 부진 및 재고 누증'을 지적했다. 이외에도 '대외 불확실성 지속(43%)', '고환율 및 자재비 부담 증가(36%)' 등이 주요 경영 장애 요소로 꼽혔다. 특히 최근 이자 부담 가중과 자금난(26%) 응답 비율이 전 분기 대비 증가하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영 환경이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 조사에서도 제조업체의 42%가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답해 기업들이 현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풀이된다. 이어 일부 기업들은 원가 절감(31%)과 제품 경쟁력 제고(25%), 해외시장 개척(14%) 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91,000
    • -0.17%
    • 이더리움
    • 2,631,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515,000
    • -2.46%
    • 리플
    • 3,138
    • +0.13%
    • 솔라나
    • 209,400
    • -0.57%
    • 에이다
    • 992
    • -0.6%
    • 이오스
    • 1,016
    • -2.03%
    • 트론
    • 357
    • +0.28%
    • 스텔라루멘
    • 388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700
    • -1.31%
    • 체인링크
    • 20,200
    • -1.37%
    • 샌드박스
    • 401
    • -3.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