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테이지 "업무용 AI로 미국ㆍ일본ㆍ동남아 공략"…中 딥시크 넘어설 추론모델 6월 공개

입력 2025-04-16 15: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OCR·LLM 기반 AI로 업무 표준 주도
미국·일본·동남아 AI B2B 시장 공략
다큐먼트 파스ㆍ솔라 등 해외 수요 多
OCR·LLM 결합 멀티모달 공개 예고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업스테이지)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업스테이지)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광학문자판독(OCR)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업무용 인공지능(AI)을 통해 글로벌 AI 업무 표준을 주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산업 전반의 업무 방식이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은 사람이 하고 있다”며 “국내 약 2900만 경제활동인구의 업무생산성이 단 1%만 향상돼도 연간 약 14조 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업무 프로세스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AI 기반 OCR 문서 처리 기술 ‘다큐먼트 파스(DP)’ △LLM ‘솔라’를 통해 각 산업별 AI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OCR부터 LLM까지 풀스택 AI 모델을 모두 자체 개발한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드물다”면서 “업스테이지는 어떤 형태의 문서도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는 DP와, 자체 사전학습을 통해 개발한 솔라를 앞세워 국내 AI 업무 표준을 정립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스테이지는 산업별 특화 소형언어모델(sLM)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업스테이지에 따르면 이달 공개 예정인 ‘솔라 프로 1.3’ 버전은 국내 개발 모델 중 벤치마크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 6월에는 △기존 220억(22B) 매개변수에서 330억 사이즈로 확장한 ‘솔라 프로 1.5’ 버전과 △오픈AI ‘o 시리즈’, 딥시크 R1에 필적하는 ‘생각 사슬(CoT)’을 구현한 첫 추론 모델을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OCR LLM을 통합한 멀티모달로도 확장을 꾀한다. 6월 공개 예정인 ‘비전언어모델(VLM)’은 DP와 솔라를 결합해 정보 요약, 질의응답, 보고서 작성 등 문서 기반의 다양한 LLM 작업을 단일 모델로 실행해준다. 테스트에 따르면 메타의 ‘라마 4 스카우트’, 구글의 ‘제미나이 2.5 프로’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스테이지는 '솔라'를 활용한 글로벌 출사표도 던졌다. 김 대표는 "얼마 전 KT, 태국 자스민그룹과 함께 한국 기업 최초로 해외 소버린 AI 구축에 성공했다"며 "최근에는 미국 지사 '업스테이지 US'를 설립해 S&P 500 보험사 3곳과 도입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일본 사무실도 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베트남, 말레이시아, 몽골, 튀르키예 등 아시아 전역으로 소버린 AI 구축을 확장해 글로벌 톱 AI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에서는 이미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3월 일본 법인을 추가 설립하고 현지 기업과 합작해 일본어 특화 LLM을 개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마츠시타 히로유키 일본 법인장은 “일본 AI 솔루션 시장은 2030년 17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있는 업스테이지의 문서 처리 기술과 소형언어모델을 기반으로 현지 맞춤형 전략을 강화해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는 “업스테이지의 AI는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더 나은 ‘일의 미래’를 만드는 기술”이라며 “한국에서 검증된 AI 업무 표준을 글로벌 시장에 확산하고, AI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나가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제사령탑 부재에 韓경제 적신호...'0%대 성장률' 현실화하나
  • 폐업자·영세사업자 재기 지원…은행권, 금융안전망 구축
  • 캐즘 늪 빠진 K배터리, 허리띠 졸라매고 신시장 공략
  • 메모리 시장에서 밀린 삼성전자…반전 노릴 '킥'은 [ET의 칩스토리]
  • 턴제 RPG와 액션 RPG의 조합, ‘클레르 옵스퀴르:33원정대’ [딥인더게임]
  • 4월 아파트 거래 어디로 쏠렸나?…토허제 풍선효과에 양천·마포 ‘집중’
  • 5월 연휴 끝나면 美 FOMC…고용·기대 인플레 변화 핵심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89,000
    • -1.97%
    • 이더리움
    • 2,597,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0.87%
    • 리플
    • 3,100
    • -1.96%
    • 솔라나
    • 208,400
    • -0.24%
    • 에이다
    • 977
    • -2.2%
    • 이오스
    • 1,015
    • -1.17%
    • 트론
    • 354
    • -0.56%
    • 스텔라루멘
    • 381
    • -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550
    • +0.85%
    • 체인링크
    • 20,030
    • -1.09%
    • 샌드박스
    • 397
    • -1.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