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6일(현지시각)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발언에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699.57포인트(1.73%) 내린 3만9669.39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20.93포인트(2.24%) 밀린 5275.70에, 나스닥종합지수는 516.01포인트(3.07%) 떨어진 1만6307.16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이날은 파월 의장이 연설에서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이 하락했다. 파월은 이날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 연설에서 미국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소비지출은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관세를 앞둔 수입 급증은 국내총생산(GDP) 전망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고 경기 체감도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역 정책의 영향으로) 연준은 두 가지 목표에서 멀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가 둔화함에 따라 실업률은 아마도 상승할 것이다. 관세의 영향이 경제에 스며들면서 인플레이션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계감을 드러냈다. 다만 그러면서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시장은 작동하고 있다. 원래 그래야 할 움직임을 하면서 질서정연하게 거의 예상대로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이 급락할 경우 중앙은행이 개입하는 연준 풋옵션이 있냐는 물음에는 “설명을 곁들여 아니오 라고 말할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 뉴스
주가는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하락 폭을 확대했다. 엔비디아 등 반도체주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기업 중심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4.10%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당국에 제출한 서류에서 “AI용 반도체 H20을 둘러싸고 미국 정부로부터 중국 수출 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받았다”며 “55억 달러의 비용을 계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통상 마찰이 심화하고 있다. 반도체 제조장비업체인 ASML은 이날 관세의 영향으로 실적 전망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 전략가는 “관세 조치로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은 이러한 우려를 확인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를 뺀 전 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기술주가 3.94% 급락하면서 하락장을 주도했다.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 분야도 2%대 내렸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양호했다. 미국 상무부는 3월 미국의 소매 판매(계절조정치)가 전달보다 1.4% 늘어난 7349억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의 증가율 0.2%에서 큰 폭으로 개선된 결과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2.52포인트(8.37%) 상승한 32.6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