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삼성전자, 에릭슨(Ericsson), 노키아 등 글로벌 장비 제조사들과 협력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대비 서비스 품질·용량·전력 효율 등 주요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됐다.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실제 실내외 환경에서 실증한 것은 국내 이동통신사 중 SKT가 처음이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제조사와 관계없이 구현할 수 있어, 이동 통신과 AI가 결합한 ‘네트워크 AI(Network AI)’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과거 기지국 전용 하드웨어에 동일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돼야 했던 것보다 개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SKT는 가상화 기지국의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했다.
또한, SKT는 개방형 프론트홀 구조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 에치에프알(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 표준에 따라 연동시켰다.
SKT는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네트워크 AI’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포함한 다양한 칩세트 기반의 기지국 장비와 가상화 자원 분비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류탁기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 SKT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