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신규 분양 ‘뚝’…4월까지 단 2곳에 그쳐

입력 2025-04-18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올해 4월까지 서울에서 분양한 단지는 두 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와 시행사가 경기 침체와 탄핵 및 조기 대선 정국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분양 일정을 줄줄이 미루고 있다.

1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일반분양을 마쳤거나 예정된 단지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페를라’(2월 분양) △중구 황학동 ‘청계 노르웨이숲’(오는 28일 분양 예정) 두 곳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6곳에서 신규 분양을 실시한 것을 감안하면 3분의 1로 줄어든 셈이다.

래미안 원페를라는 전체 1092가구 중 482가구가 일반분양 됐고 청계 노르웨이숲은 총 404가구 중 일반분양 물량이 97가구에 그친다. 이들 단지의 일반분양 규모를 합쳐도 고작 579가구에 불과하다. 서울만 놓고 보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이 같은 공급 한파는 서울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수도권 전역에서도 분양 물량은 이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분양평가 전문기관 리얼하우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도권 분양 물량은 총 1914가구로 전체의 14.9%에 그쳤다. 과거 1분기 수도권 분양 비중이 30~50%대를 유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또한 최근 5년간 평균 물량(2만192가구)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4월은 전통적으로 분양이 활발한 '성수기 초입'에 해당하는 달이다. 봄 이사 수요와 연계된 상반기 최대 분양 시즌 중 하나로 건설사들이 분양을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올해는 이러한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분양이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극단적 공급 위축의 원인으로 △고분양가 부담 △미분양 증가세 △정책 불확실성 등을 복합적인 요인으로 꼽는다. 특히 오는 6월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분양가 상한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세제, 기부채납 등 부동산 정책 전반의 변화 가능성이 커진 탓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지금은 단순히 분양가 이슈가 아니라 대선 이후 정부 기조가 바뀔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하는 시점”이라며 “상반기 무리하게 분양을 밀어붙이기보다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하반기 시장을 겨냥하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분양 물량 부족은 단순히 공급 일정 지연에 그치지 않고 실수요자 시장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수도권 수요는 여전히 높은 상태에서 공급이 감소함에 따라 전세 수요 집중, 전세가 상승 등 연쇄적인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다"며 "수도권 내 신규아파트 품귀 현상이 더욱 심화되어 청약 경쟁률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370,000
    • -0.73%
    • 이더리움
    • 2,614,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0.38%
    • 리플
    • 3,136
    • -0.85%
    • 솔라나
    • 210,900
    • -1.91%
    • 에이다
    • 997
    • -1.19%
    • 이오스
    • 1,037
    • -1.14%
    • 트론
    • 356
    • +2.01%
    • 스텔라루멘
    • 385
    • -2.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400
    • -5.82%
    • 체인링크
    • 20,510
    • -1.63%
    • 샌드박스
    • 413
    • -4.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