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 초저가 무기로 공급…유통업계 타격 불가피[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中)]

입력 2025-04-22 05: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21 17:3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미국 ‘관세 폭탄’에 C커머스, 한국 시장으로 눈돌려

미·중 무역 전쟁이 ‘강(强)대강’치킨게임으로 격화하면서 샌드위치 신세인 한국이 최대 피해국이 될 처지에 놓였다. 두 국가간 상호관세를 비롯한 수입 통제 ‘맞불’ 전략에 미국으로 들어가지 못한 중국산 물량이 우회 경로를 찾아 대거 한국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다. 이미 철강, 가전, 섬유 등 국내 제조업은 중국산 저가 물량공세에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져 몇년째 고전 중이다. 문제는 미국이 최근 중국에 대한 소액 면세제도까지 폐지하면서 중국의 싸구려 재고 물량까지 대거 한국으로 방향을 틀 수 있다는 점이다. 저가 중국산이 제조업을 넘어 유통, 소비시장까지 교란시키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국내 산업 생태계의 균열을 심화시키는 중국의 밀어내기에 대한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모색해본다.

104% 상호 관세 이어 트럼프발 '소액면세제도' 폐지에 C커머스 좌표 선회
자체 뷰티 브랜드 쉬글램 앞세운 쉬인...K셀러 모집한 테무…한국 시장 직진출
현지화 전략 강화 중인 알리익스프레스...국내 업계 "한국 공세 올해 더 세질 것"

▲최근 3개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 (이투데이 그래픽팀=손미경 기자)
▲최근 3개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 (이투데이 그래픽팀=손미경 기자)

미·중 관세 전쟁이 확전 양상을 띠면서 알리익스프레스(알리)·테무·쉬인(알테쉬) 등 중국 이커머스(C커머스)의 한국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중국의 대미(對美) 수출이 막힐 것을 대비해 일찌감치 막대한 저가 재고 물량을 한국으로 수출할 경우, 국내 유통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알리에 더해 올해 들어 테무와 쉬인 등이 적극적으로 한국 사업 확장에 나서는 모양새다.

20일 이커머스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 중국에 대해 104%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효한 데 이어 최근 800달러(약 114만원) 미만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하는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했다. 이로 인해 내달 2일부터 미국으로 향하는 소액 소포에도 120%의 높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으로 인해 그동안 미국 소비재 시장을 장악했던 중국산 상품의 수출 좌표가 한국으로 빠르게 바뀔 전망이다. 사실상 반덤핑 가격에 준하는 초저가 물량 공세가 이어질 공산이 크다. 한국은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42조897억 원이다. 시장 규모는 중국·미국·영국·일본에 이어 세계 5위다.

이미 국내 시장에서 중국산 상품은 빠르게 안착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발 해외 직접구매(직구)액은 7억8600만달러(약 1조1197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7억500만 달러·약 1조43억 원) 대비 11.5% 늘었다. 해당 기간 전체 직구액이 14억2100만 달러(약 2조244억 원)에서 13억5800만 달러(약 1조9346억 원)로 4.4%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전체 직구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49.6%에서 57.9%로 높아졌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다.

특히 초저가 상품을 무기로 미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계속 높여온 C커머스 테무와 쉬인의 발 빠른 행보가 눈에 띈다. 쉬인은 2월부터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체 뷰티 브랜드 ‘쉬글램’(SHEGLAM) 판매에 돌입했다. 저렴한 가격대와 트렌디한 디자인이 특징인데, 쉬인이 공식적으로 판매하기 전까지 국내 소비자는 쉬글램 글로벌 홈페이지에서 해외 직구로 구매해왔다. 쉬인은 작년 4월 한국에 진출한 뒤 서브 패션 브랜드 ‘데이지’를 론칭했다. 하지만 국내 패션 시장에서 위상이 미미하자, 뷰티까지 상품 카테고리를 넓힌 것이다.

테무도 같은달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한국 상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 투 로컬(L2L) 사업’ 전개를 공식화했다. 국내 판매자(셀러)를 테무에 입점시켜 한국에서 오픈마켓 사업을 전개할 방침이다. 현재 한국 테무 판매자센터 페이지를 만들었고 셀러 1차 모집도 완료했다. 또한 테무는 중국계 물류 대행사를 내세워 김포한강신도시에 대형 물류센터의 장기 임차계약을 맺었다. 운영은 롯데그룹 물류 계열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가 담당한다. 업계는 테무의 이런 행보가 올해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을 펼치기 위한 사전작업이라고 본다.

알리는 한국 현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상품 직구보다 한국상품 전문관 K베뉴(K-Venue)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식품, 가전, 패션에 이어 최근 자동차용품으로 K베뉴 상품 카테고리를 확장했다. 특히 신선식품 품질 강화를 위해 1억 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 ‘신선을 알리다’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C커머스업체들은 미국의 강력한 관세 부과 정책에 따른 판로가 아예 막힐 경우를 대비하고 있을 것”이라면서 “테무와 쉬인 등이 잇달아 한국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것도 그런 행보”라고 말했다.

▲쉬인의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쉬글램 상품 (사진제공=쉬인 홈페이지 캡처)
▲쉬인의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쉬글램 상품 (사진제공=쉬인 홈페이지 캡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 “2나노 주도권 경쟁 본격화”…삼성전자, TSMC와 격차 좁힐까 [ET의 칩스토리]
  • 4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 급감…‘토허제 역기저’에 강남3구 90%↓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11: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030,000
    • +2.39%
    • 이더리움
    • 2,669,000
    • +2.03%
    • 비트코인 캐시
    • 534,000
    • +0.28%
    • 리플
    • 3,212
    • +0.47%
    • 솔라나
    • 217,700
    • +1.07%
    • 에이다
    • 1,031
    • +3.31%
    • 이오스
    • 1,020
    • +4.19%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400
    • +1.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50
    • +11.57%
    • 체인링크
    • 21,540
    • +2.09%
    • 샌드박스
    • 443
    • +3.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