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베스트 LLM·글로벌AI챌린지 본격 추진

인공지능(AI) 분야에 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경이 이뤄지며,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및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 등 AI 정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AI 분야 추경 정부안을 계기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해 '국가 AI 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예산은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 확보에 주로 쓰인다. 먼저, 추경 예산 1조4600억 원을 투입해 올해 11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GPU 1만 장분을 연내 우선 도입한다. 또 1723억 원을 들여 국내 AI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2600장분의 추가 임차·활용도 지원한다.
GPU는 비용 효율성, 국내 여건 등을 고려해 최적의 기종으로 확보를 추진하는데, 엔비디아의 H200과 블랙웰이 검토 중이다. 또, GPU 구매 때 일정 부분을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이 개발한 신경망처리장치(NPU)로 활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AI 추천 뉴스
아울러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실증사업도 기존 298억 원에서 752억 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잠재력을 가진 국내 AI반도체 기업이 적기 내 NPU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AI컴퓨팅 상용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온디바이스 AI, 해외 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실증 지원도 확대한다.
민간 AI컴퓨팅 인프라 투자 촉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도 강화한다. 첨단 AI R&D, AI 인프라 투자에 대해 세제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3월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했으며,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전략기술의 범위 등을 구체화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AI 데이터센터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입지·시설·전력 관련 제도적 지원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국가 AI 정예팀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도 본격 닻을 올린다. 투입 예산은 1936억 원으로, 최대 3년간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프로젝트 선정사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가 구축한 GPU 자원 활용에서도 우선권을 갖는다. 프로젝트는 다음 달 공모를 시작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 확보·양성도 지원한다. 1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혁신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챌린지’를 하반기에 개최한다. 또한,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국내에 유치할 경우 3년간 최대 연 20억 원을 지원하는 ‘(가칭) AI 패스파인더(Pathfinder) 프로젝트’를 올해 신규 추진한다. 아울러 300억 원을 투입해 국내외 연구진에게 400명에게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기존 900억 원 규모였던 ‘AI 혁신펀드’는 2000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됐다. 이를 위해 올해 정부 예산을 45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증액한다. AI 분야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 AI 분야 연구성과와 혁신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하여 AI‧AX 딥테크 기업을 육성하는 트랙도 신설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경쟁속에서 이번 추경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중대한 결정”이며, “과기정통부는 ‘1년이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 뒤처진다’라는 절박한 각오로 추진과제를 철저히 준비하여 AI 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