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입력 2025-04-18 1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mRNA 백신개발 과제 총괄기관으로 "백신개발 전 주기 주도"

백신 전문기업 유바이오로직스(Eu Biologics)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는 ‘국산 mRNA 플랫폼 기술 기반 코로나 변이주 및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백신개발 비임상 연구’를 주제로 하며, 국산 mRNA 백신의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 승인 획득을 목표로 한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이번 과제의 총괄기관으로서 mRNA 백신 개발의 전 주기를 주도하며, 백신 후보물질 개발, 생산공정 구축, 비임상 시험 등 전 분야에서 전문역량을 갖춘 기관들과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협력 컨소시엄에는 유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SML바이오팜(SML Biopharm) ▲인벤티지랩(Inventage Lab)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 등이 참여한다. SML바이오팜은 백신 후보물질 개발 및 mRNA-LNP 플랫폼을 제공하고, 인벤티지랩은 mRNA-LNP 생산공정 개발을 맡으며, 생명연과 서울대는 비임상 효력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유바이오로직스는 그동안 단백질 기반 서브유닛(protein subunit) 백신개발에 강점을 보여왔으며, 이번 과제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 기술도 확보해 백신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정부과제 선정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mRNA 백신이라는 글로벌 차세대 플랫폼을 선점하고 국가의 백신주권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며 “현재 개발중인 단백질 서브유닛 백신의 경우 선진시장 공략을 목표로 하는 프리미엄 백신들로 RSV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은 올해말 전후로 임상2상에 진입하게 될 예정이며, 기존 단백질 서브유닛 기술과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감염병 대응 체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전날 유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총 4곳의 사업단을 선정해 발표했다. 해당 사업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국산 mRNA 백신 허가를 목표로 비임상부터 임상3상까지 총 사업비 5052억원을 지원하는 연구사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58,000
    • -0.02%
    • 이더리움
    • 2,632,000
    • +0.53%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0.76%
    • 리플
    • 3,152
    • -0.19%
    • 솔라나
    • 209,500
    • -0.99%
    • 에이다
    • 1,006
    • +1.11%
    • 이오스
    • 1,033
    • +1.08%
    • 트론
    • 354
    • -0.56%
    • 스텔라루멘
    • 385
    • -1.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350
    • -1.57%
    • 체인링크
    • 20,410
    • -1.45%
    • 샌드박스
    • 404
    • -5.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