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證 “한국전력, 증익과 배당 확대 기대감…목표가 ↑”

입력 2025-04-21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3만2000원으로 상향 조정

신한투자증권이 한국전력에 대해 올해 1분기 이익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3만 원에서 3만2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2만4300원이다.

21일 최규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에너지(유가 등) 가격 및 환율 하향 안정화가 지속됨에 따라 올해 증익 기반이 더욱 견고해지는 중”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주당배당금(DPS)은 213원에서 1500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라고 했다.

최 연구원은 “이제는 더 단단해지고 있는 펀더멘털에 주목할 시기”라며 “올해 4분기에 요금 인상이 이뤄진다면 금상첨화인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1분기 연결 영업이익 3조7000억 원을 전망한다”며 “에너지 가격 하향 안정화 지속으로 연료비는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해 지난해 4분기와 유사한 낮은 전력도매가격(SMP)으로 구입전력비 15.2% 감소를 예상한다”고 했다.

이어 “여기에 지난해 10월 요금 인상 효과가 더해지며 큰 폭의 이익 개선 달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연구원은 “연결 영업이익 14조1000억 원을 전망한다”며 “경기 둔화가 예상됨에 따라 전력 판매량은 감소를 예상한다”고 했다.

그는 “올해 1분기 호실적을 이끌 요인이 지속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큰 폭의 증익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60달러/배럴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는 유가(WTI), 100달러/톤 수준으로 낮아진 유연탄 가격(호주 뉴캐슬), 1400원대 초반으로 낮아진 환율을 감안해 직전 보고서 대비 연결 영업이익 추정치를 상향 조정한다”고 했다.

또 그는 “우호적인 영업 환경 조성에 따라 증익과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되는 중”이라며 “밸류에이션 할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재무 건전성 문제가 해소될 경우 기업 가치 추가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824,000
    • -0.81%
    • 이더리움
    • 2,639,000
    • -1.57%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2.64%
    • 리플
    • 3,170
    • -1.95%
    • 솔라나
    • 214,400
    • -2.19%
    • 에이다
    • 1,009
    • -0.88%
    • 이오스
    • 1,055
    • +6.78%
    • 트론
    • 351
    • -1.4%
    • 스텔라루멘
    • 394
    • -1.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000
    • +2.28%
    • 체인링크
    • 21,200
    • -1.44%
    • 샌드박스
    • 43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