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선진화 되돌릴 수 없어"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 시장이 조만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에 편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21일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외신기자들 대상 간담회에서 '6월 MSCI 선진국지수 관찰대상국 등재 가능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이전에 미흡사항으로 공매도 재개, 접근성 개선 등이 있었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대부분 다 제도개선이 이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혹시 완전히 해결이 안 된 부분이 한두 개 있을 수 있지만 이번이 아니더라도 조만간 MSCI (선진국지수)에 들어갈 가능성은 굉장히 높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글로벌 시장의 주요 벤치마크 지수인 MSCI 지수는 세계 지수를 경제 규모와 개방성 등 기준에 따라 선진국, 신흥국, 프런티어 시장으로 구분한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지수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1년 이상 올라야 한다. MSCI는 지난해 6월 한국을 신흥국 시장으로 유지했다.
AI 추천 뉴스
김 부위원장은 이와 관련 "공매도 재개나 시장 접근성 등 선진국지수 편집 관련해 미흡 사항으로 지적받은 부분들의 90% 이상은 이미 다 해결이 된 상태"라며 관찰대상국 등재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이날 상법 개정 재추진 방침을 밝힌 가운데 김 부위원장은 "여러 부작용과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자본시장법 개정을 먼저 해보자는 게 정부 입장"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상법 개정과 자본시장법 개정은 하나는 되고 하나는 안 되는 이슈라기보다는 어떻게 디테일을 가져가야 하는지가 상당히 중요한 이슈"라고 덧붙였다.
그는 '기업 밸류업' 등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도 했다. 김 부위원장은 "해외 설명회(IR)를 하다 보면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이 계속될 것인지를 많이 물어본다"며 "적어도 지난 3년간 진행된 부분은 되돌아갈 수 없으며, 전반적인 방향에서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