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도 관련 법안 두 건 추진 중
은행들도 가상자산 기업과의 관계 회복 시도
가상자산 업계가 미국 은행업 진출에 재시동을 걸고 있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과 가상자산 수탁업체 ‘비트고’ 등 주요 가상자산 기업들이 은행업 인가 또는 금융 라이선스 취득을 추진하고 있다.
수년 전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붕괴와 그에 따른 가상자산 친화 은행 실버게이트은행과 시그니처은행의 연쇄 파산으로 각종 규제와 단속이 강해졌다. 이에 가상자산 산업과 전통적 금융업계는 결별하는 듯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비트코인 찬양’에 다시 한번 가상자산이 은행업에 접근할 길이 열리고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주도하는 가상자산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을 보관할 예정인 비트코는 현재 은행업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기 직전 단계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팍소스도 비슷한 계획을 검토 중이다.
미국 의회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두 건의 법안이 추진 중이다. 법안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규제 당국으로부터 은행업 인가나 면허를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가상자산 업체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가만 받는 제한된 면허를 취득할 수도 있고 전통적인 대출 및 예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국 신탁은행 또는 산업은행으로의 인가를 받을 수도 있다.
관련 뉴스
가상자산 기업이 은행 인가를 취득하면 더 엄격한 규제 감시를 받게 된다. 현재까지 연방 은행 인가를 취득한 유일한 가상자산 기업인 앵커리지디지털은 규정 준수를 위해 수천만 달러를 지출했다고 밝혔다. 네이선 맥컬리 앵커리지디지털 최고경영자(CEO)는 “쉬운 일은 아니다”라며 “은행에 적용되는 광범위한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의무가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FTX 붕괴 이후 규제 당국의 단속으로 가상자산 기업들과의 관계를 끊었던 은행들도 돌아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와 동시에 은행이 가상자산 사업을 하려면 사전에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규정이 완화됐다. 더 나아가 은행이 가상자산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지침도 올해 하반기 발표될 예정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브라이언 모이니핸 CEO는 2월 “법적 기반이 마련된다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U.S.뱅코프는 가상자산 기업 NYDIG와 파트너십을 맺고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를 재개할 계획이다. 도이체방크와 스탠다드차타드 등 글로벌 금융사들도 미국 내 가상자산 사업 확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