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9월부터 전직원 챗GPT 도입…'기재부版'과 차별화 [단독]

입력 2025-04-22 14: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정원 보안성 검토 거쳐 3개월간 시범운영…5월 체험단 모집
개인별 계정으로 이용 가능·검색기록 안 남도록 협의
환경장관 이하 전직원 챗GPT 교육…도입 전 역량 강화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간부들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챗GPT 강연을 듣고 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간부들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챗GPT 강연을 듣고 있다.

환경부가 9월부터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유료 버전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앞서 생성형 AI를 도입했지만 팀제 운영으로 속도가 느리고 검색 주체·내용이 기존 망에 기록되는 기획재정부판(版)의 단점은 보완할 계획이다.

2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환경부는 약 4~5개월 걸리는 국가정보원의 생성형 AI 관련 보안성 검토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증 과정 등을 거쳐 9월부터 챗GPT 유료 버전을 도입한다.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 업체 A사와 협업해 '환경부 맞춤' 버전으로 시범 운영하며 구체적인 예산 견적을 짜고 12월부터 정식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환경부 직원들이 사용할 챗GPT는 앞서 직원용 내부망에 유료 생성형 AI 2개(챗GPT·퍼플렉시티)를 도입한 기재부 버전의 단점을 개선해 활용도를 높였다고 한다. 기재부의 경우 국별로 일부 차이는 있지만, 통상 팀제로 생성형 AI를 운영하다보니 접속·응답 속도가 느리고 검색 주체와 내용이 작업용 컴퓨터에 기록으로 남는 단점 등이 있어 직원들이 활용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환경부는 직원이 개인별로 챗GPT 계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소위 '토큰' 방식으로 계약을 맺어 일반적인 검색 속도를 유지하는 한편 검색 기록도 남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생성형 AI에 관심이 많다"며 "타 부처는 AI를 업무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단점은 무엇인지,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 등을 알아보라고 해서 방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국가정보원의 보안성 검토를 거쳐야 해서 중앙부처가 활용하는 챗GPT 등에 내부 파일 업로드 및 분석이 안 된다는 것은 활용도를 낮추는 고질적인 단점으로 거론된다. 이러한 탓에 팀 단위의 계정을 마련한 기재부에서도 개개인이 챗GPT를 자체적으로 유료 결제하고 사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기재부의 한 사무관은 "외부망을 통해 사용하는 챗GPT는 질문과 답변, 복사 정도만 가능하고 이용 흔적도 남아 불편한 점이 많다"며 "몇 번 써보다가 개인 계정으로 결제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5월 중 챗GPT 직원 체험단 50명을 모집해 관련 테스트를 거쳐 9월부터 환경부 본부와 전국 유역·지방환경청 7곳, 홍수통제소 4곳 등 소속기관 전 직원(4800여 명)으로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환경부는 하반기 챗GPT 도입을 앞두고 직원 AI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달 소관부서인 정보화담당관실에 "챗GPT를 도입했을 때 전 직원이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간부라도 빠짐없이 AI 교육을 듣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김 장관 등 국장급 이상 간부 전원은 최근(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챗GPT 강사인 김진희 미래교육아카데미 대표 초빙 강연을 들었다. 이달 28일에는 본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챗GPT 강연이 예정돼 있다.

해당 강연을 들은 환경부 국장은 "미래에 AI가 사람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AI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대체할 거라는 강사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며 "신선한 충격을 받았고, 환경정책 홍보나 발표자료 작성 등에 AI를 접목할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한덕수, 총리서 대선주자로...빅텐트 성사·대선 완주 '관건'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5개 재판 중 첫 대법 판단…대통령 당선 땐 재판 멈출까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275,000
    • +2.75%
    • 이더리움
    • 2,664,000
    • +3.74%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0.38%
    • 리플
    • 3,209
    • +1.52%
    • 솔라나
    • 217,400
    • +3.92%
    • 에이다
    • 1,018
    • +3.77%
    • 이오스
    • 990
    • +2.06%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9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150
    • -1.63%
    • 체인링크
    • 21,550
    • +5.53%
    • 샌드박스
    • 436
    • +2.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