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0%로 대폭 낮췄다. 내년 경제성장률(1.4%) 역시 기존 전망(2.1%)보다 하향 조정했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런 내용이 담긴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했다. IMF는 매년 네 차례에 걸쳐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과 10월에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세계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수정전망을 내놓는다. 이에 더해 연례협의 활동을 종료하면서 성장률 전망을 조정하기도 한다.
특히 이번 전망에서는 최근의 높은 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해 기존의 단일 전망 대신 전망 기준일에 따른 '기준 전망'과 '보완 전망'을 함께 제시했다. 기준전망에서는 4월 4일 기준 반영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가별 성장률을 전망했다. 보완전망은 △4월 2일(상호관세 부과) 이전 △4월 9일(상호관세 유예, 미·중 보복관세) 이후 기준으로 나눠 세계 성장률 범위를 추가했다. 다만 보완 전망은 지역·국가 전망을 공개하지 않았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1.0%)은 IMF가 1월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2.0%)보다 1.0%포인트(p) 하향 조정됐다. 이는 한국은행(1.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 아시아개발은행(ADB·1.5%), 정부(1.8%)보다 낮은 수준이다.
AI 추천 뉴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4분기 성장률이 안 좋았던 것과 미국 관세 영향 등 국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기준 전망의 기준점이 4월 4일이다 보니 미국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 중국의 보복 관세 등이 포함이 되지 않아 낙폭이 더 컸다"고 부연했다.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4%로 올해 1월 전망(2.1%)보다 0.7%p 하향 조정했다.
아울러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5%p 하향한 2.8%로 전망했다. IMF는 4월 4일을 기준으로 한 '기준 전망'에서 무역 긴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해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우선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4월 2일 이전을 기준으로 한 '보완 전망'에서는 미국의 2~3월 무역정책, 높은 유가 전망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성장률이 대폭 둔화함에 따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1월 전망 대비 0.1%p 낮춘 3.2%로 전망했다.
4월 9일 이후를 기준으로 한 '보완 전망'에선 올해는 상호관세 90일 유예의 효과가 미국과 중국의 성장률 하락으로 상쇄되어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손실이 다른 국가의 이득을 넘어섬에 따라 기준 전망(3.0%)보다 소폭 낮은 2.9%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국가별·지역별 성장률을 기준 전망만 제시했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1월 전망 대비 0.5%p 하향된 1.4%로 예측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1.8%)은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지난 1월 전망 대비 0.9%p 낮췄다.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일본(0.6%)도 하향 조정됐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월 전망 대비 0.5%p 낮춘 3.7%로 전망했다. 특히 중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은 4.0%로 내다봤다. 지난해 4분기 예상보다 견조한 실적, 재정 확대에도 불구하고 최근 관세 조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지난 1월 전망 대비 각각 0.6%p씩 하향 조정했다. 멕시코의 올해 성장률은 -0.3%로 지난 1월 전망 대비 1.7% 대폭 낮췄다. 지난해 말 이후 부진한 경제활동과 미국의 관세 부과, 지정학적 긴장, 긴축적 금융환경 영향이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고 진단하면서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고금리 및 높은 부채 수준으로 인한 재정·통화 정책 여력 부족, 주가 및 시장가격 재조정 가능성 등 금융·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되면 세계 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IMF는 예측 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무분별한 산업 보조금을 지양하고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를 통한 무역 분절화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금융시장 안정과 기대 인플레이션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건전한 재정운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국가별 금융·외환시장 성숙도에 맞는 적절한 개입 및 건전성 조치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중기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여성·고령층 노동 참여 제고와 AI·디지털 기술 투자확대, 규제 정비 등의 노력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