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한국 온실가스 총배출량 2.9% 증가

입력 2009-12-28 11: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화석연료 발전량 증가 등 에너지소비 증가로 인해 늘었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7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억2000만tCO₂(이산화탄소톤)로 2006년의 6억260만tCO₂대비 2.9% 증가했다.

이는 GDP가 5.1% 증가했던 2007년도의 경제활동을 반영한 것으로 2002년 이후 5년만에 최고의 배출량 증가율 기록한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고리1호기 가동만료에 따른 원자력발전량 감소 및 발전설비 증설에 따른 화석연료 발전량 증가,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에너지소비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부문별로는 에너지부문이 3.9%, 농업부문이 5.3% 증가한 반면 산업공정부문은 4.4%, 폐기물부문은 2.2% 감소했다.

아울러 1990년(선진국 의무감축 기준년도) 배출량대비 2007년 배출량은 103.0% 증가한 규모로서 연평균 4.3%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 기간중 발전, 산업, 수송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비가 연평균 5.6% 증가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협의회와 제3자 검증(외부 전문가 검토), 품질보증/품질관리(QA/QC) 강화 등 객관적이고 철저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비의무감축국(Non-Annex I 국가)으로서는 최초로 의무감축국(Annex I 국가) 수준의 온실가스통계 작성했다.

이번 국가통계는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의무가 없는 비의무감축국으로서는 최초로 UN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가인벤토리보고서(NIR)와 공통보고양식(CRF)을 작성·검증했다는 게 지경부측 설명이다.

지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부처로서 지속적인 인벤토리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2010년 중 IPCC, 영국, 일본 등 온실가스통계분야의 선진기관과 통계작성기반 협조체계를 구축·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객관성·일관성·신뢰성 제고를 위해 2007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시행중인 국가 고유 배출계수 개발을 2011년까지 완료하고 에너지·산업공정·폐기물·농축산·산림 등 부문별 기초 자료의 품질수준을 제고하여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시대의 도래에 대비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77,000
    • -0.33%
    • 이더리움
    • 2,306,000
    • -2.29%
    • 비트코인 캐시
    • 467,800
    • -0.57%
    • 리플
    • 3,041
    • -2.12%
    • 솔라나
    • 186,400
    • -1.17%
    • 에이다
    • 887
    • -2.21%
    • 이오스
    • 923
    • +6.21%
    • 트론
    • 369
    • +2.22%
    • 스텔라루멘
    • 342
    • -1.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10
    • -0.69%
    • 체인링크
    • 17,830
    • -1%
    • 샌드박스
    • 360
    • -2.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