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헬스케어사업 진출

입력 2010-03-02 11:16 수정 2010-03-02 13: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동심장제세동기 출시

에스원이 신규사업 진출의 첫 포문을 헬스케어로 열었다. 에스원은 심장박동이 비전상적일 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의 수축이완을 정상화시키는 의료기기인 AED(자동심장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AED는 2008년 6월에 개정시행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건소와 구급차는 물론 정부와 광역지자체 청사, 공항, 철도역사, 버스터미널, 경마장 등 공공 다중이용시설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AED는 약 2000여대 정도로, 아직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아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에 에스원에서 출시한 AED는 본체의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진행되는 음성안내에 따라 흉부와 옆구리에 전극패드를 붙이고 버튼만 누르면 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어린이와 어른의 구분 없이 전극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충격 제어도 단일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어 생명의 촌각을 다투는 긴급한 상황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오작동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셀프테스트 기능이 탑재돼 있어 일간, 월간으로 주요 부품의 다양한 항목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여 점검이 필요하면 경고램프와 경고음으로 알려준다.

에스원 AED는 고정에너지가 아닌 단계적으로 높은 충격을 줄 수 있는 에스컬레이션(Escalation) 기능이 있어 인명소생의 성공률을 향상 시켰다고 설명했다. 또 구명 중에 조사한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가 기기에 저장되어 향후 치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에스원은 AED가 응급상황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임을 감안, 제품의 출고시점부터 항상 사용 가능 상태로 유지되도록 전극패드, 배터리 등의 소모품의 교체시기를 전산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에스원 관계자는 "에스원은 창사 이래 고객의 안전을 지키는 것을 업으로 삼아왔다. AED 출시를 계기로 고객의 재산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생명을 지키는데도 기여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스원은 지난해 11월 '2020년 세계 10대 보안회사'라는 비전을 선포하면서 보안솔루션 사업의 확대, 헬스케어 사업과 환경 및 방재 모니터링 사업, 에너지 자산보안 사업 등의 3대 신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18,000
    • -0.17%
    • 이더리움
    • 4,787,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0.28%
    • 리플
    • 660
    • -0.6%
    • 솔라나
    • 194,400
    • +1.36%
    • 에이다
    • 535
    • -2.19%
    • 이오스
    • 816
    • +0.62%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1.66%
    • 체인링크
    • 19,510
    • -1.46%
    • 샌드박스
    • 472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