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서울의 거리' 녹색 가로로 '탈바꿈'

입력 2010-10-26 13: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대통령궁 근처에 있는 '서울의 거리'를 나무가 많고 깔끔한 녹색 거리로 다시 조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는 30억원을 들여 작년 10월부터 울란바토르시 중심가의 국립극장에서 철도대학까지 2.1㎞ 구간의 '서울의 거리'를 다시 단장했다.

특히 이번 재정비는 사막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몽골의 문제점을 막기 위해 울란바타르시와 정비방향 협의를 통해 도로와 시설물 위주의 재정비보다 녹지확충에 주력했다. 구주소나무(몽골소나무) 222주, 몽골쥐똥나무 3만5450주, 귀룽나무 300주, 해당화 200주 등 수목 4종 3만6174주를 심었다.

도로 정비에는 중국이나 몽골산 대신 내구성이 좋은 국산 자재를 사용하기로 하고 보도블록과 경계석, 가로등, 안내판부터 휴지통과 벤치까지 각종 공산품 2천100t을 모두 한국에서 가져갔으며 시공 전문 기술자 12명까지 파견해 작업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서울의 거리 정비공사외에도 몽골 사막화 방지를 위해 푸른 숲과 한국의 전통 조경시설이 도입되는 약 2만㎡의 ‘몽골 서울숲’ 조성공사를 2012년까지 완료하기 위해 우수디자인 선정을 위한 현상공모를 마치고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진행 중에 있다.

공사 자재는 컨테이너 상자 112개에 담아 인천항에서 화물선으로 중국 신강항까지 이송했고, 이곳에서 다시 기차에 바뀌 싣고 톈진과 에얼리언(중국 국경), 자미우드(몽골 국경)를 거쳐 2400㎞를 운반했다.

서울시가 1996년 자매도시 교류를 기념해 조성한 '서울의 거리'는 몽골 현지인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 장소이지만 도로 배수 불량과 가로등 및 도로 파손, 녹지 관리 불량 등으로 서울을 대표하는 길이라고 부르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간 서울의 거리가 낡고 손상돼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지금은 정리정돈이 가장 잘 된 거리로 부각되고 있으며, 울란바토르시 바트 부시장은 공무원들이 서울시의 식재 기법을 배워야한다고 밝히기도 했다'고 말했다.

울란바토르시는 27일 '서울의 거리' 준공 행사를 열고 서울시에 감사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감사패는 조은희 정무부시장이 대표로 현지를 방문해 받는다.

한편, 서울시는 2012년까지 몽골에 푸른 숲과 우리나라 전통 조경시설이 들어서는 2만㎡ 넓이의 서울숲을 만들기로 하고 기본 및 실시설계를 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858,000
    • +4.94%
    • 이더리움
    • 2,407,000
    • +9.56%
    • 비트코인 캐시
    • 453,000
    • +11.58%
    • 리플
    • 2,983
    • +8.59%
    • 솔라나
    • 174,700
    • +11.2%
    • 에이다
    • 930
    • +9.54%
    • 이오스
    • 1,048
    • +0.38%
    • 트론
    • 348
    • +0.29%
    • 스텔라루멘
    • 358
    • +7.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40
    • +7.64%
    • 체인링크
    • 18,550
    • +12.42%
    • 샌드박스
    • 383
    • +9.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