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당초 지난 1일로 예정됐던 철강제품 가격 인상을 보류한 후 철강·조선업체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이제, ‘얼마나 올리느냐’보다 ‘언제 올리느냐’를 놓고 포스코의 결정을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다. 포스코가 가격 인상 폭과 시기를 놓고 고민을 거듭할 수록 2분기 실적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는 하소연이 터져나오고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가 지난 1일 계획했던 가격인상을 잠정 보류한 뒤 일주일이 지났지만, 가격 인상 시기를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포스코 내부에서는 정유사들이 정부의 압력에 밀려 휘발유·경유 제품 가격을 내림에 따라 ‘지금은 인상할 때가 아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업계는 2분기 실적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을 엄습해오고 있다. ‘기준 가격’이 되는 포스코의 가격 인상이 지연되면서 적용 시점이 언제일 지에 따라 철강업계에 미칠 파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철강업계는 1주일 지연으로 수천억원대의 금액을 손해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나마 원가경쟁력을 갖춘 포스코는 버틸 수 있지만,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동부제철 등 다른 철강사들은 버티기 힘들어졌다. 지난해 국내 몇몇 냉연업체 마진율은 3%를 밑돌거나 겨우 적자를 면하는 수준이다.
국내 냉연업체들은 고로에서 나온 쇳물을 고온에서 1차 가공한 반제품인 ‘열연강판(핫코일)’을 다시 얇게 눌러 냉연강판으로 재가공해 판매하고 있어 포스코의 가격변동이 매출과 직결되는 셈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최악의 경우 포스코 가격 인상이 5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때문에 지난 1분기 저가 원료 구입에 힘입은 재고효과마저 사라지면서 시장 왜곡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철강업체가 출하가격을 결정하지 못하다보니 이를 구매해 수요업체에 되파는 유통업계도 시장가격을 조정하지 못해 판매를 보류하고 있고, 수요업체는 물량이 없어 살 수 없는 악순환도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가격인상을 못하면 사실상 3분기부터 적자가 발생한다”며 “이제는 인상폭 보다는 언제 발표할 것이냐가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업계 역시 선박 건조용 후판가격이 언제 오를 것이냐를 놓고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 있다. 급기야 동반성장의 관점에서 전·후방산업이 서로 ‘윈윈’할 수 있도록 배려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선박 가격은 계속 떨어지는 데 후판 가격은 대폭 오를 전망이어서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한장섭 한국조선협회 부회장은 최근 포스코와 접촉을 갖고 “조선사들이 지난 2009년 이후 저가로 수주한 물량이 많아 후판값 인상분을 선가에 반영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후판 가격이 톤당 10~15% 오르면 조선업체들은 다 죽는다”고 하소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포스코도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고 호소했다. 철광석 가격이 올랐는 데도 지난해 3분기부터 철강재값을 동결,영업이익이 반토막났다는 것. 하지만 가격인상 발표 시점을 계속 미루면서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