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DSFㆍ백화점 합병 '파란불'

입력 2011-05-25 10: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대하던 한국밸류 주식 전량 매도한 듯...국민연금은 찬성

현대DSF 주주총회가 하루앞으로 다가오면서 '현대백화점-현대DSF 합병의 키'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과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의 입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관련업계 따르면 현대DSF는 이날까지 주주들을 대상으로 합병 반대의사를 접수한 뒤 오는 26일 주총을 개최, 합병건을 승인할 예정이다.

양사 합병에는 2,3대 주주인 한국밸류운용과 국민연금의 의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매수청구가격은 주당 1만460원으로 한국밸류와 국민연금이 모두 청구권을 행사하고 소액주주 중 0.18%가 동참하면 합병이 무산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의 경우 찬성 의사를 던질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현대백화점과 현대DSF 주식으로 모두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익을 따질 경우 찬성의사를 표명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민연금은 현대백화점의 대주주인 현대그린푸드 지분을 1000억원 넘게 보유하고 있다. 반면 현대DSF의 지분가치는 5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 즉 현대백화점에게 합병조건이 더 유리해질 수록 국민연금에게는 이득이 된다.

그런데 그동안 '현대백화점 주주들에게만 전적으로 유리한 합병'이라며 강력한 반대의사를 표명했던 한국밸류운용이 현대DSF 주식(지분 5.45%)을 전략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아지자 서둘러 발을 뺐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측한다.

실제 국민연금이 찬성 의사를 던진다면 한국밸류운용은 소액주주들에게 5.18%의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런데 현재 현대백화점(24일 현재, 17만5000원)과 현대DSF(1만3500원)의 주가수준을 감안하면 소액주주들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현대백화점과 합병한다면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일 것"이라며 "합병 후 현대백화점과 현대DSF 모두 상승여력은 20% 미만이지만 우량한 자회사들의 지배구조 변화도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시장의 추측에 대해 두 기관은 "주총때까지 공식적인 입장은 말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71,000
    • +0.45%
    • 이더리움
    • 2,309,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487,200
    • +1.46%
    • 리플
    • 3,011
    • +0.2%
    • 솔라나
    • 201,300
    • +3.66%
    • 에이다
    • 906
    • +1.8%
    • 이오스
    • 899
    • -0.77%
    • 트론
    • 350
    • -1.41%
    • 스텔라루멘
    • 356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80
    • +1.27%
    • 체인링크
    • 18,450
    • +0.44%
    • 샌드박스
    • 381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