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회장 "'품질 고급화'에 주력"

입력 2011-06-30 08: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출장서 '가치 있는 회사로 도약' 거듭 당부… 고급브랜드 성장 초석

▲29일(현지시간) 정몽구 회장(우측)이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에 위치한 주지사 공관을 방문, 로버트 벤틀리 주지사와 환담을 갖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품질 고급화’에 주력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지난 27일 방미한 정 회장은 LA에 위치한 현대·기아차의 미국 판매법인의 업무보고를 받은 뒤 현대차 앨라배마공장과 기아차 조지아공장을 방문, 판매 전략과 현지 생산 차량의 품질을 집중 점검했다.

정 회장의 이번 방미는 지난해 7월 이래 11개월만이다. 최근 현대·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돌파한 데 대한 격려와 회복세에 있는 경쟁사들에 대한 대응전략 점검 차원이다.

정 회장은 방미 기간 동안 현지 직원들에게 현대·기아차를 더 가치 있는 회사로 한 단계 도약시킬 것을 거듭 당부했다.

정 회장은 "현대·기아차가 미국시장에서 지금의 위치에 오르게 된 것은 회사를 믿고 자신의 모든 역량을 쏟아 부어준 임직원 여러분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하지만 지금의 수준에 만족한다면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우리의 역량은 과거 10년간 우리가 이룬 성과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확신한다"며 "미국 시장은 물론 전 세계 시장에서 현대기아자동차가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 회장은 "지금까지 현대·기아차가 '품질 안정화'를 위해 임직원 모두가 애써왔지만 앞으로는 '품질 고급화'에 주력해야 할 때"라며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 수준을 넘어서 고객에게 감동을 주고, 감성을 만족시키는 품질 수준에 도달해야 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라고 말했다.

이는 현대기아차가 '품질 고급화'를 통해 판매확대는 물론 고급 브랜드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8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한 현대차는 지난달까지 누적 685만8000대를 판매했으며, 94년 진출한 기아차는 총 348만여대를 판매, 두 회사의 미국 시장 누적 판매대수는 총 1033만8000여대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정 회장은 미국 방문기간 동안 현대차 미국공장이 위치한 앨라배마주 로버트 벤틀리(Robert Bentley) 주지사를 비롯 기아차 미국공장이 위치한 조지아주 네이선 딜(Nathan Deal) 주지사와 만나 상호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몽구 회장은 기아차 조지아공장이 성공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협조해준 주정부에 감사를 표하며 앞으로도 생산 물량 증대에 따른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03,000
    • +5.83%
    • 이더리움
    • 2,465,000
    • +11.24%
    • 비트코인 캐시
    • 448,600
    • +9.92%
    • 리플
    • 3,061
    • +12%
    • 솔라나
    • 175,400
    • +10.31%
    • 에이다
    • 947
    • +11.94%
    • 이오스
    • 1,052
    • +3.75%
    • 트론
    • 350
    • +0.86%
    • 스텔라루멘
    • 358
    • +6.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110
    • +7.64%
    • 체인링크
    • 18,760
    • +13.42%
    • 샌드박스
    • 383
    • +9.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