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공천신청 접수 개시… 경쟁 본격화

입력 2012-02-06 14: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낙천시 탈당않겠다’ 서명도… ‘교체지수’ 주요잣대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6일 4·11 총선 비례대표와 지역구 의원의 공천신청 접수를 시작했다. 대대적인 물갈이가 예고된 가운데, 공천접수 뒤 실시될 여론조사의 ‘교체지수’ 결과가 공천심사의 주요 잣대가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10일까지 5일간 공천신청 접수를 받은 뒤 16일께부터 본격적인 심사절차에 착수하겠다는 계획이다. 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우선 이날 196개 당원협의회를 대상으로 실시한 당무감사 결과를 공천 기초자료로 공식 보고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가 지역구 현역의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구 여론조사 결과도 함께 보고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같은 자료들은 현역의원들의 ‘개인 성적표’에 불과, 실제 공천 여부는 공천접수가 마무리된 후 외부기관을 통해 실시될 여론조사 결과에서 판가름 날 것이란 게 당의 설명이다. 특히 새누리당은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역구 의원 하위 25%를 공천 배제키로 해 현역의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황영철 대변인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공천 접수가 마무리되는 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공천위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현역의원 4분의 1이 탈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변인은 또 “당의 쇄신을 이끌고 새 정치문화를 만들어서 국민들의 지지와 신뢰를 받을 수 있게 만들어 줄 젊고 참신한 분들이 공천 신청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새누리당은 모든 공천신청자로부터 ‘공천 탈락하더라도 탈당하거나 당적을 옮겨 해당 선거구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자필 서약서를 받기로 했다. ‘낙천 시 행보’도 자필 기재토록 의무화했다. 이는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정치적인 부담을 지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본인과 가족의 이중국적·위장전입·병역면제·이혼·재혼·성희롱 구설·해외골프여행 여부와 장기기증 서약 등 봉사·기부활동 여부 등 140개 항목의 ‘자기검증 진술서’를 제출토록 했다. 여기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량지수 심사 반영을 위한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 등 SNS 계정도 제출받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70,000
    • -0.5%
    • 이더리움
    • 2,657,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437,600
    • -2.1%
    • 리플
    • 3,111
    • -1.24%
    • 솔라나
    • 177,400
    • -1.22%
    • 에이다
    • 950
    • -2.66%
    • 이오스
    • 1,112
    • -4.96%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371
    • -1.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10
    • -1.03%
    • 체인링크
    • 18,770
    • -1.98%
    • 샌드박스
    • 383
    • -2.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