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오염하천 개선사업에 4600여억원 투입

입력 2012-05-24 1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11곳 선정 내년부터 본격 추진

▲경기도 안성의 죽산천은 인접한 축산농가로 인해 하천의 오염정도가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수질환경이 취약하다. (사진제공 환경부)

정부가 오염하천 개선을 위해 460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환경부는 오염하천 개선을 위해 특화된 지원시스템에 따라 1단계로 11개의 오염하천을 선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오염하천 개선지원 시스템은 그동안 여러 수질개선사업들이 분산·추진됨에 따라 개선효과를 얻는 데 장기간이 소요됐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환경부는 오염하천 11곳을 선정해 2013년 하수도, 생태하천복원, 비점오염저감 등 수질 및 수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수단을 단기간에 집중하는 ‘패키지형’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오염하천은 안성시 죽산천, 남양주시 홍릉천, 경남 함안군 호곡·야촌천, 부산광역시 북구 대리천, 경북 성주군 백천, 충남 연기군 조천, 아산시 매곡천 등 11곳이다.

환경부는 462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13년부터 집중 지원해 빠르면 2014년 늦어도 2017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홍릉천, 대리천 등 도시지역은 하수관거 정비, 초기 오염빗물 처리, 생태하천복원 사업을 중심으로 개선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죽산천, 백천 등 농촌지역은 가축분뇨처리시설, 축산지역 생태습지, 마을하수도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또 수질개선사업 외에 공장, 축산농가 등 오염원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하천 감시·정화활동 등도 병행된다.

개선사업이 완료되면 대부분의 오염하천이 수질 2등급 이하인 ‘좋은 물(BOD 3㎎/L이하)’ 수준으로 개선되고 생태계적으로도 건강하게 될 것으로 환경부는 전망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질·수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수단을 단기간에 집중하는 ‘패키지형’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4600여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만큼 향후 3~5년 이내에 사업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84,000
    • -0.28%
    • 이더리움
    • 4,869,000
    • +1.9%
    • 비트코인 캐시
    • 536,500
    • +0.28%
    • 리플
    • 669
    • -0.15%
    • 솔라나
    • 208,600
    • +6.76%
    • 에이다
    • 553
    • +0%
    • 이오스
    • 825
    • +1.48%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0.39%
    • 체인링크
    • 19,870
    • +0.51%
    • 샌드박스
    • 482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