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영등포, '돌비 애트모스' 시스템 적용…3차원 입체 음향 가능

입력 2012-10-02 0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멀티플렉스 극장체인 CJ CGV(대표이사 서정)가 세계적인 음향 선도 기업인 돌비 래버러토리스(Dolby Laboratories)와 손잡고 CGV영등포 4관에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음향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도입, 그 첫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메리다와 마법의 숲’을 지난 달 27일부터 상영 중이다.

돌비 애트모스란 영화관 표준 사운드 채널로 널리 알려진 미국 돌비의 차세대 음향 시스템으로, 지난 4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시네마콘에서 선보여 극장 관계자 및 사운드 엔지니어들로부터 극찬을 받은바 있다.

돌비 애트모스는 기존의 2차원적인 입체 음향에 머리 위쪽 음원(Overhead speakers)을 추가한 형태로, 벽면의 복수 스피커가 동일한 음원을 재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기존 개별 스피커가 구동해 특정 위치에 음원 배치를 가능케 함으로써 3차원 입체 음향(Pan-Through Arrays)을 구현해 낸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사물의 움직임과 위치에 따라 입력된 소리가 각각 조정되는 최대 128개 오브젝트(Object) 기반 믹싱과 64개 채널로 재생되는 채널 기반 믹싱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기술을 통해 관객들은 이전에 없던 살아 움직이는 오디오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돌비 애트모스로 믹싱된 직품은 단 한 개의 사운드 패키지로 제작 및 배급되기 때문에 영화관의 스피커 개수나 환경과 상관없이 제작자가 의도한 대로의 콘텐츠 전달이 가능, 단 한 번의 제작으로 전 세계 극장 어디서나 최적의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GV영등포 4관에서 돌비 애트모스로 믹싱된 ‘메리다와 마법의 숲’을 관람할 시, 관객들은 주인공 ‘메리다’가 숲 속에서 걷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실제 숲 속에 들어와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성안에서 조그만 길을 걸을 때 느껴지는 발소리에서는 관객이 직접 걷는 듯 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만든다.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이미 지난 6월 미국에서 ‘돌비 애트모스’ 믹스로 개봉하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받은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366,000
    • -0.44%
    • 이더리움
    • 2,626,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3.92%
    • 리플
    • 3,148
    • -1.44%
    • 솔라나
    • 211,400
    • -2.45%
    • 에이다
    • 993
    • -3.12%
    • 이오스
    • 1,034
    • +1.97%
    • 트론
    • 355
    • +0.57%
    • 스텔라루멘
    • 389
    • -2.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00
    • +3.16%
    • 체인링크
    • 20,870
    • -2.34%
    • 샌드박스
    • 429
    • -1.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