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 국내 첫 발행 ‘영구채’란 무엇인가

입력 2012-10-08 10: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국내기업 최초로 5억달러 규모의 영구채권 발행에 성공해 영구채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구채권은 만기가 없어 발행사가 원금은 상환하지 않고 일정한 이자만을 지급하는 채권을 말한다. 두산인프라코어가 발행한 이번 채권은 30년 만기 때 원금상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사실상 영구채권에 해당한다.

특히 이 채권은 만기가 없는 신종자본증권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상 자기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회사채 발행과 달리 부채비율을 낮출 수 있고, 유상증자와는 달리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 없이 자본확충이 가능하다. 흔히 전문용어로‘콘솔’, ‘100년만기 채권’으로 불리고 있다.

그 동안 신종자본증권은 은행이나 금융지주사들에 한해서만 발행이 허용됐다가 상법 개정으로 지난 4월 15일부터 기업들도 발행할 수 있게 됐다. 개정상법 이후 국내기업 중 CJ제일제당의 해외법인인 PT CJ인도네시아가 아리랑본드 형태로 신종자본증권인 영구채를 발행한 적이 있다. 하지만 PT CJ인도네시아는 해외법인이라 국내기업 중 신종자본증권인 영구채 발행은 두산인프라코어가 처음이 된다.

기업 입장에서 영구채권을 발행하면 기존 3년 회사채 발행과 달리, 채권 만기를 계속 늘릴 수 있어 장기자금 조달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채권 인수자, 즉 투자자 입장에서는 일반 회사채보다 금리가 높아 수요자와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48,000
    • +0.38%
    • 이더리움
    • 2,314,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481,800
    • -2.69%
    • 리플
    • 2,995
    • +0.13%
    • 솔라나
    • 199,800
    • +3.52%
    • 에이다
    • 897
    • -0.22%
    • 이오스
    • 907
    • +0.55%
    • 트론
    • 349
    • -0.57%
    • 스텔라루멘
    • 354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90
    • -0.02%
    • 체인링크
    • 18,370
    • +0.93%
    • 샌드박스
    • 381
    • +1.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