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그룹 지배구조 대해부]대한제당그룹, 불황 속에도 골프장 사업 ‘쏠쏠’

입력 2013-03-12 11: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1 회계연도 기준 공주개발 33억ㆍTS개발 10억 영업이익

대한제당그룹 계열사 중 골프장 업체 2곳의 실적이 눈에 띈다. 주인공은 공주개발과 TS개발. 골프업계 불황 속에서도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등 매년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공주개발은 지난 2011 회계연도에 매출 92억원에 영업이익 33억원을 남겼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36%로 동종업계 평균 4.7%와 비교해 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2010년에도 3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등 매년 흑자 행진이 흔들리지 않고 있다. 특히 실적을 바탕으로 부채비율도 크게 낮추고 있다. 최근 3년새 공주개발은 부채비율이 298%에서 187%로 100%포인트 이상 낮아졌다.

특이한 점은 공주개발이 부지 매입 후 상당한 자산 평가 이익을 얻고 있다는 사실이다. 공주개발이 토지 매입을 완료한 지난 2006년 기준 부지 장부가액은 33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골프장 건설 을 위한 금융권의 담보 설정액은 390억원. 싼 가격에 사서 개발 등을 통해 실질적인 자산 규모를 급격히 늘릴 셈이다.

공주개발은 지난 2005년 대중 골프장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아 2007년 프린세스 골프장을 개장해 운영하고 있다. 지분은 대한제당이 모두 갖고 있다.

공주개발의 순자산가치는 2011년말 현재 246억원으로 골프장 오픈 당시인 2007년 38억원과 비교해 6배 이상 증가했다.

공주개발에 앞서 골프장을 운영하기 시작한 TS개발의 실적도 탄탄하다. TS개발은 지난 1995년부터 송추컨트리클럽을 개장해 현재까지 회원제 골프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TS개발은 2011년 매출 124억원으로 전년 대비 2억원 가량 낮아졌지만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1억원 많아졌다. TS개발의 순자산 가치는 2011년말 현재 597억원에 이른다. 순자산 가치는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장부상 금액으로 사실상 기업의 최소가치 기준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912,000
    • +5.05%
    • 이더리움
    • 2,434,000
    • +10.64%
    • 비트코인 캐시
    • 451,700
    • +11.15%
    • 리플
    • 3,003
    • +10.4%
    • 솔라나
    • 175,300
    • +12.16%
    • 에이다
    • 930
    • +10.45%
    • 이오스
    • 1,045
    • +2.85%
    • 트론
    • 351
    • +0.86%
    • 스텔라루멘
    • 358
    • +7.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90
    • +8.58%
    • 체인링크
    • 18,670
    • +14.61%
    • 샌드박스
    • 382
    • +10.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