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한국경제 뜯어보니②] 건설업 2년연속 마이너스 성장

입력 2013-03-27 1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건설업 성장률은 -1.6%로 전년(-4.3%)에 비해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불황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0년(-2.7%) 이후 3년 연속 부진을 기록했다. 분기별로 보면 1분기 1.9% 성장 외에는 2분기 -1.5%, 3분기 -1.4%, 4분기 -4.0% 등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작년 건설업의 경우 해외부문은 플랜트 수주 감소에도 건축 및 토목공사 수주 증가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공공부문 수주가 위축되고 주택 과잉공급이 지속돼 경기 침체가 심화됐다. 특히 부동산경기 하락의 장기화는 건설업의 발목을 잡았다는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건설경기도 지난해에 이어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공공부문 수주와 투자를 급격하게 늘리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부동산시장 회복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새 정부 정책에 따라 부동산경기 회복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저성장 기조와 인구구조 변화 등 영향으로 분양시장 회복은 쉽지 않은 만큼 아파트가격은 하락 압력은 지속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때문에 작년과 같은 흐름이 지속되거나 경우에 따라 둔화 폭이 더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는 진단이다.

다만 중동지역 발주 추세 지속과 해외시장 다변화에 따라 해외부문은 당분간 수주 확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해외부문 수주 확대가 건설업계의 화두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84,000
    • +0.71%
    • 이더리움
    • 2,332,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10.55%
    • 리플
    • 3,166
    • +5.36%
    • 솔라나
    • 188,300
    • +2.95%
    • 에이다
    • 943
    • +1.62%
    • 이오스
    • 944
    • +7.76%
    • 트론
    • 360
    • -1.1%
    • 스텔라루멘
    • 359
    • +4.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100
    • +1.32%
    • 체인링크
    • 18,670
    • +0.48%
    • 샌드박스
    • 384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