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 배출’ 이건희 회장의 도전

입력 2013-05-14 10: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년간 1조5000억원 투입 ‘미래기술 육성재단’ 설립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국내 노벨과학상 배출을 위한 초석을 만들 것을 선언했다. 창조경제에 화답하면서 4개 기초과학 분야를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삼성그룹은 13일 △미래 노벨과학상을 위한 기초과학 토대 마련 △소재기술 육성 △ICT(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창의과제 지원 등을 골자로 한 미래기술 육성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삼성은 이들 중점 분야에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각각 2500억원씩 총 7500억원을 지원한다. 이후 5년을 추가로 더 지원해 2022년까지 총 1조5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지원을 위한 재단도 설립에도 나선다.

이 회장이 이 같은 결단을 내린 배경은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국가차원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미래를 대비한 준비가 절실하다는 것이 이 회장의 견해다.

무엇보다 미래 노벨과학상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초 과학분야를 지원한다는 대목이 관심을 끈다. 삼성 측이 지원하는 분야는 기초분야인 물리와 화학, 생명과학, 수학 등이다.

이번 투자 결정을 두고 재계 안팎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이건희 회장의 ‘투 트랙 전략’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먼저 이번 투자로 창조경제를 앞세운 새 정부의 투자 독려에 화답할 수 있게 됐다. 이 회장은 박 대통령의 방미일정 가운데 “최대한 투자와 고용을 이끌어내겠다”고 언급했다.

향후 10년 간 1조5000억원이라는 규모는 다른 주요기업들이 쉽게 내세울 수 없는 큰 규모다. 특히 삼성이 움직이면서 향후 다른 기업의 추가 투자도 속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기초과학분야 투자로 삼성의 5대 신수종 가운데 하나인 ‘바이오’사업도 탄력을 받을 기세다.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밝힌 화학과 생명과학 분야는 삼성의 신수종 가운데 하나인 바이오 사업과 무관하지 않다.

장기적인 지원 계획을 밝힌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노벨과학상은 아이디어부터 노벨상 수상까지 평균 28년이 걸린다. 따라서 삼성은 우수 연구자를 조기 발굴하고 장기적인 지원을 이어가면서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순수하게 기초과학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이번 계획에 포함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육성프로그램과 신수종을 연계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5대 신수종 사업에 생명과학과 연계된 ‘바이오’ 분야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34,000
    • -0.37%
    • 이더리움
    • 4,823,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534,500
    • +0.66%
    • 리플
    • 665
    • -0.6%
    • 솔라나
    • 196,000
    • +1.55%
    • 에이다
    • 539
    • -2%
    • 이오스
    • 821
    • +0.98%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1.26%
    • 체인링크
    • 19,560
    • -0.71%
    • 샌드박스
    • 473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