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최고 등급 모두 잃었다”

입력 2013-07-15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피치, 등급 ‘AA+’로 강등...유로존 위기감 다시 고조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국) 2위 경제국인 프랑스가 최고 국가신용등급을 모두 잃는 수모를 당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의 신용등급을 종전 ‘AAA’에서 ‘AA+’로 강등했다. 이로써 프랑스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를 포함한 3대 신평사로부터 최고 등급을 박탈당한 셈이 됐다.

전문가들은 피치가 프랑스에 대한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제시했지만 향후 강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피치는 프랑스의 막대한 정부부채 부담이 신용등급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신용등급 강등 배경을 설명했다.

피치는 “유로존(유로 사용 17국) 경제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프랑스의 1분기 국가부채 비중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91.7%에 달하고 있다”면서 “2014년에는 96%로 확대돼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피치는 “프랑스의 부채 규모가 오는 2017년까지 GDP 대비 92%선을 유지하고 그 이후 90% 밑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랑스의 불확실한 경제성장 전망 역시 국가 신용등급 강등의 배경이라고 피치는 전했다.

유로존의 재정위기가 지속되면서 프랑스의 경제는 지난해 제로(0) 성장에 이어 1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0.2% 위축하는 불황에 접어들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프랑스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0.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의 노동시장 역시 경직되는 등 실물경제는 최악의 상황이다. 프랑스의 5월 실업률은 10.9%로 1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젊은층에서는 4명 중 1명꼴로 일자리가 없는 상태다.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정부부채를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재정적자 감축과 경제 성장 회복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앞서 프랑스 재정적자 규모를 GDP 대비 3%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시기를 2년 연장했다.

프랑스는 올해 재정적자를 GDP 대비 3.9%로 줄이고 2014년에는 3.6%, 2015년에는 2.8%로 낮춰 EU의 권고치를 맞출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19,000
    • -0.28%
    • 이더리움
    • 2,622,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26,000
    • -0.28%
    • 리플
    • 3,150
    • -0.28%
    • 솔라나
    • 212,200
    • -1.07%
    • 에이다
    • 1,012
    • -0.2%
    • 이오스
    • 1,060
    • +0.28%
    • 트론
    • 357
    • +1.71%
    • 스텔라루멘
    • 388
    • -2.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800
    • -4.44%
    • 체인링크
    • 20,710
    • -0.81%
    • 샌드박스
    • 416
    • -3.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