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선의 지킴과 키움]부채비율은 가치투자 나침판

입력 2013-10-02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태선 인벡스투자자문 대표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부채비율, 유동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4가지 비율을 알아야 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비율을 분석해야 하지만 기본적인 4가지 비율만 알아도 재무적 악재인 유상증자, 상장폐지, 감자를 피할 수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대표적인 안전성 4가지 비율 중 부채비율에 대해 알아보겠다. 부채비율의 이론적인 공식은 부채비율 = 부채총계/자본총계이다.

부채비율은 가치투자에 있어 굉장히 중요하다.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중요하지만 부채비율도 관심있게 살펴봐야 한다. 회사를 분석하는 데 부채비율이 100% 이상이라면 한번 투자를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금융회사나 건설 등 부채비율이 100% 이상이라도 큰 문제가 없는 업종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00% 이상이면 재무 및 회계분석을 할 수 없는 일반투자자들은 조심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재무, 회계지식이 있다면 100% 이상인 부채가 어떤 종류인지 상세히 봐야 한다.

부채에는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순부채가 있다. 유동부채는 간단하게 1년 이내 지급해야 하는 단기부채를 말한다. 유동부채 계정으로만 계산한 것이 유동부채비율이다. 유동부채비율 = 유동부채/ 자본총계로 계산된다. 유동부채비율이 단기간에 비정상적으로 급증한 기업은 유동성이 악화되거나 기업의 재무상태에 문제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비유동부채는 유동부채를 제외한 나머지 부채를 말한다. 유동부채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라면 비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지 않는 부채 등이 비유동부채에 속한다. 비유동부채 계정으로만 계산한 것이 비유동부채비율이다.

비유동부채비율 = 비유동부채 / 자본총계입 계산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비유동부채는 장기차입금, 장기성매입채무, 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퇴직급여충당부채 등 장기성부채들이 비유동부채에 속한다. 비유동부채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날 경우 회사는 매년 이자 부담이 생기고 부채비율이 증가해 안전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유동부채나 비유동부채나 부채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기업들은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분기보고서가 발표될 때 매출액, 영업실적, 당기순이익 등 성장성보다는 부채를 먼저 체크해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지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순부채 계정으로만 계산한 것이 순부채 비율이다. 순부채비율 = 순부채/자본총계 순부채 = 이자발생부채-단기매매금융자산-당기손익인식(지정)금융자산-단기금융상품-단기매도가능금융자산-단기만기보유금융자산-현금 및 현금성자산 순부채비율은 순차입금비율로 볼 수 있다.

순차입금 = 총차입금 - 현금 및 단기예금이자가 있는 차입금보다 현금이 많으면 순부채비율은 음수가 된다. 그래서 순부채비율이 음수일수록 재무건전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부채비율이 100%를 초과해도 순부채비율이 음수인 경우는 부채이지만 재무에 큰 영향을 주는 부채가 적다고 볼 수 있다. 부채를 종합해 보면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면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가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순부채비율은 음수인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부채비율만 낮다고 기업의 재무가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는 점도 함께 명심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49,000
    • -1.94%
    • 이더리움
    • 2,297,000
    • -3.93%
    • 비트코인 캐시
    • 467,100
    • -3.73%
    • 리플
    • 3,027
    • -3.87%
    • 솔라나
    • 182,400
    • -5.39%
    • 에이다
    • 886
    • -5.54%
    • 이오스
    • 892
    • +0%
    • 트론
    • 371
    • +1.37%
    • 스텔라루멘
    • 342
    • -3.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70
    • -1.78%
    • 체인링크
    • 17,800
    • -3.78%
    • 샌드박스
    • 360
    • -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