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보험민원 토론회]“보험민원 문제 해결하려면 쉬운 약관 등 완전판매 여건 조성해야”

입력 2013-10-14 17: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가 주최한 이투데이 경제대토론회가 14일 오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보험민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됐다. 참가자들이 보험민원 진단을 의제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노진환 기자 myfixer@

보험회사와 소비자, 금융당국 관계자들은 보험민원 해결을 위해서는 약관을 쉽게 바꾸고 소비자 정보접근성을 강화하는 등 완전판매 여건을 조성해야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1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보험민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이투데이 경제대토론회에 참석한 207명의 보험업계 관계자들은 보험민원 해결방안이라는 의제로 진행된 2부 토론에서 ‘보험민원 해결방은은 의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49명(24%)이 완전 판매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체 참석자 중 40명(19%)는 청소년기부터 금융 교육을 실시하는 등 소비자들의 보험인식을 변화하는 캠페인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설계사 자격인증제 등 판매자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람이 30명(1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관리당국의 민원 평가방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사람이 29명(14%), ‘손해사정제도 활성화 등 분쟁조정기구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람이 21명(10%)을 기록했다.

이밖에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보험업계의 고객관리 방안을 혁신해야 한다’는 사람이 19명(9%), ‘간편하고 정확한 보험금 지급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사람이 12명(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험중개사 제도 등 기타 의견을 낸 사람은 7명(3%)이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 소비자는 “약관의 내용을 명확하게 공지해야 한다”면서 “약관 내용을 축소화시키고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쉽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또 보험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는 “보험 실적을 맞추는 것보다 완전판매가 우선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투데이와 코리아스픽스가 주최하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보험연구원·보험학회 후원으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보험사 직원 100명, 보험소비자 100명, 금감원 10명, 보험연구원 5명 등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21,000
    • -0.06%
    • 이더리움
    • 2,361,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0.89%
    • 리플
    • 3,149
    • +1.81%
    • 솔라나
    • 190,900
    • +1.33%
    • 에이다
    • 953
    • +0.63%
    • 이오스
    • 911
    • -9.35%
    • 트론
    • 367
    • +2.51%
    • 스텔라루멘
    • 359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090
    • -2.55%
    • 체인링크
    • 18,970
    • -0.05%
    • 샌드박스
    • 384
    • -2.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