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구글만 신나는 포털 규제- 정유현 미래산업부 기자

입력 2013-10-23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루가 멀다 하고 포털 규제가 언론을 장식하고 있다. 국정감사는 물론 공정위도 네이버 등 포털을 향한 제재 초읽기에 들어갔다.

공정위는 21일 불공정 경쟁 혐의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 결과를 담은 심사보고서를 네이버 등 포털 3사에 발송했다.

포털이 검색 광고 결과에서 광고와 정보를 뚜렷이 구별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피해를 줬다는 이유다. 네이버는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남용, 협력업체에 불공정 행위를 하고 네이버 비즈니스플랫폼(NBP) 등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준 혐의도 받고 있다.

제재 수위를 결정하기 앞서, 전 세계 1위 사업자인 구글에 대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사례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미국 역시 △광고와 검색 결과의 구분 △자사 내부 콘텐츠와 외부 콘텐츠 간 차별 등을 두고 2년 넘게 조사했다.

조사 결과 FTC는 별도로 새로운 법을 만들거나 과징금을 부과하지 않고 권고하는 데 그쳤다. ‘경쟁자 보호’보다 ‘경쟁 과정’을 보호하며‘소비자 효용’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다만 경쟁업체 수집 정보를 게재한 사실에 대해서는 구글이 재발 방지를 약속하게 했다.

네이버가 70% 검색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1위 사업자로서 경제적 약자에 대한 지위 남용을 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규제로 인해 구글만 재미를 보는 역차별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도한 규제보다는 소비자편의와 인터넷 생태계 전체가 균형감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자는 규제 신중론에 힘을 실어야 한다.

인터넷은 국경 없는 시장이다. 네이버뿐 아니라 국내 인터넷 업체들은 시가총액이 각각 약 315조원, 112조원에 이르는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거함과 치열한 생존을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건강한 인터넷 생태계를 만들려면 좋은 규칙을 세우고 오랜 시간 가꿔야 한다. 구글만 신바람 나게 하는 규제에 목청을 높일 게 아니라, 합리적 규제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85,000
    • -0.73%
    • 이더리움
    • 2,315,000
    • -3.38%
    • 비트코인 캐시
    • 498,300
    • -1.52%
    • 리플
    • 3,140
    • +0.48%
    • 솔라나
    • 188,300
    • -0.37%
    • 에이다
    • 940
    • -1.67%
    • 이오스
    • 910
    • -8.82%
    • 트론
    • 365
    • +0.83%
    • 스텔라루멘
    • 355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40
    • -3.28%
    • 체인링크
    • 18,510
    • -2.58%
    • 샌드박스
    • 379
    • -3.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