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파 이어 사탄동상 논쟁 '화제'...왜?

입력 2014-01-09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한파, 사탄동상

▲연합뉴스

미국 남부 오클라호마주가 주 의사당에 사탄의 조각상을 세우는 문제로 적잖은 논란에 휩싸였다.

이는 악령을 숭배하는 종교단체인 '사탄 템플'이 의사당 내 설치를 요구하는 사탄 기념물의 디자인을 공개하자 기독교를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들이 거세게 항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사탄을 모시는 종교는 안톤 라베이(1930~1997년)가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 세운 '사탄교회'를 위시로 여러 곳에서 생겨나 부흥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가운데 남부 '바이블벨트'의 한 축인 오클라호마에 사탄 기념 논란이 불거진 것은 지난 2012년 지역 기독교계와 집권 공화당이 의사당에 십계명 비를 세운 데서 비롯됐다.

이후 힌두교 등 다른 종교들도 자신들의 상징물도 의회에 세우게 해달라는 청원을 제기하는 등 반발이 끊이지 않았다.

8일(현지시간) AP 통신과 지역 언론에 따르면 청원을 낸 단체 중에는 2005년 창시된 것으로 알려진 '플라잉 스파게티 몬스터' 등 신흥 종교 외에 동물권익보호단체도 포함돼 있다.

하늘을 나는 국수 괴물이란 뜻의 '플라잉 스파게티 몬스터'는 스파게티 귀신이 천지를 창조했다고 믿는 종교다.

스파게티교는 면가락이 세상과 인류를 구하고 인도한다고 믿기 때문에 국수를 건져 물을 털어낼 때 쓰는 채 등 주방기구를 신성시하고 있다.

논란이 불거지자 미국 최대의 시민단체인 미국시민자유연대(ACLU)는 다른 종교가 차별을 당하고 있다며 의회를 상대로 십계명비 철거를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사탄템플이 공개한 상징물은 2m 정도 크기의 조각상으로, 큰 날개와 머리에 뿔이 달린 염소의 얼굴을 하고 자리에 앉아있는 악마와 그 좌우에 미소 짓는 아동이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사탄템플 측은 이 조각상은 사타니즘을 대표하는 동시에 의사당을 찾는 모든 세대의 사람들에게 사탄의 무릎에 앉아 영감을 얻고 묵상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사탄상에 대해 공화당과 기독교계는 "미치광이들의 수작에 놀아나서는 안된다"며 의사당 측에 '사탄의 요구'를 거부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75,000
    • +1.34%
    • 이더리움
    • 2,348,000
    • +1.51%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0.64%
    • 리플
    • 3,204
    • +7.26%
    • 솔라나
    • 189,600
    • +4.87%
    • 에이다
    • 952
    • +3.59%
    • 이오스
    • 959
    • +9.6%
    • 트론
    • 358
    • -1.38%
    • 스텔라루멘
    • 363
    • +4.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80
    • +1.04%
    • 체인링크
    • 18,940
    • +2.6%
    • 샌드박스
    • 386
    • +1.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