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뇌관 ‘째깍째깍’…가계자산의 66% 차지

입력 2014-02-05 08: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처분소득 대비 모기지 부채 비율도 30%로 높아져

▲중국 가계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이 66%에 달하면서 버블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중국 우한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블룸버그

중국인들의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거품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청두 소재 시난재경대 산하 가계금융조사연구센터가 2만8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지난해 가계자산의 약 66.1%를 주택이 차지했다.

특히 아파트를 보유한 도시 가구의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5.5%에 달했다. 중국 가계자산 가치는 2011년에 비해 약 20% 올랐으며 부동산 가치는 26.8% 올랐다고 연구센터는 덧붙였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니콜라스 라디 선임 연구원은 “현재 중국 주민의 가처분소득 대비 모기지 부채 비율은 30%로 2008년의 18%에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간리 가계금융조사연구센터 소장은 “만일 중국의 부동산 거품이 터지면 가계자산에 상당한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소비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코넬대 경제학 교수도 “부동산 가격 하락은 민간소비에 도미노 효과를 불러 올 것”이라며 “이는 거시경제 측면에서도 성장과 경제구조 재조정 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부동산 열기는 여전히 뜨겁다. 중국 최대 온라인 부동산업체 소우펀홀딩스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국 100대 도시 신규주택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2% 올랐다.

일각에서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수요보다 많은 주택을 공급해 부동산 가격이 급락할 수 있다는 불안도 제기됐다.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이 지난달 30명의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2명은 “자금사정이 어려워 지방정부로부터 매입한 토지비용을 제대로 내지 못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조사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최악의 상황이라고 SC는 전했다.

간리 소장은 “중국 주민 대부분은 친지나 친구들로부터 돈을 빌려 주택을 샀다”며 “집을 팔아도 이 돈을 갚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면 경제뿐 아니라 사회도 불안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심당 빵, 앞으로도 대전역서 구입 가능…입점업체로 재선정
  • 이번엔 ‘딥페이크’까지…더 뜨거워진 미스코리아 폐지 목소리 [해시태그]
  • '흑백요리사' 백수저X흑수저 식당 어디일까?…한눈에 보는 위치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네이버, ‘AI 헬스 비서’ 첫발 뗐다…예상 질병에 병원도 찾아준다
  • 주말 최대 100㎜ ‘강수’…국군의 날부터 기온 ‘뚝’ 떨어진다
  • 태영건설, 자본잠식 해소…재감사 의견 '적정', 주식 거래 재개되나
  • 삼성전자, '갤럭시 S24 FE' 공개…내달 순차 출시
  • 홍명보 감독, 내주 두 번째 명단 발표서 '부상 우려' 손흥민 포함할까
  • 오늘의 상승종목

  • 09.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969,000
    • +0.89%
    • 이더리움
    • 3,551,000
    • +2.13%
    • 비트코인 캐시
    • 474,400
    • -0.67%
    • 리플
    • 780
    • +0.13%
    • 솔라나
    • 208,800
    • +1.75%
    • 에이다
    • 530
    • -1.49%
    • 이오스
    • 721
    • +0.84%
    • 트론
    • 205
    • +0.49%
    • 스텔라루멘
    • 13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350
    • -0.64%
    • 체인링크
    • 16,790
    • +1.14%
    • 샌드박스
    • 395
    • +2.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