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브라질월드컵] H조 16강 진출 경우의 수는?...알제리가 러시아전 승리하지 못할 때만 가능성 있어

입력 2014-06-23 06: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H조 16강 진출 경우의 수

▲알제리전을 마친 뒤 관중석에 인사하는 한국대표팀(사진=AP/뉴시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월드컵 대표팀이 2014 브라질월드컵 H조 2차전 알제리와의 경기에서 2-4로 패했다.

한국은 23일 새벽(한국시간)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베이라-리우에서 열린 알제리와의 경기에서 전반전에만 3골을 내주며 허무하게 무너졌고 결국 2-4로 패했다.

이로써 1무 1패를 기록한 한국은 승점 1점으로 H조 최하위로 떨어졌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아직 16강 진출 가능성은 남아있다는 점이다. 한국은 벨기에에 마지막 경기를 치른다. 벨기에는 이미 승점 6점으로 16강 진출을 확정한 사실상의 H조 최강팀이지만 이미 16강행을 확정지은 만큼 한국과의 경기에 총력전을 펼칠 이유는 없다.

이제 남은 경우의 수에서 대전제는 벨기에전 승리다. 일단 벨기에전에서 패하거나 비기면 16강 진출은 무조건 좌절된다.

벨기에전에서 이긴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H조 16강 진출 경우의 수 세 가지가 발생한다. 러시아와 알제리전에서 러시아가 이기는 경우, 알제리가 이기는 경우 그리고 비기는 경우다. 러시아가 승리한다면 한국과 러시아는 공히 1승 1무 1패를 기록해 한국과 러시아가 골득실차를 따져야 한다. 이 경우 한국은 현재 러시아보다 골득실에서 한 골이 뒤져있어 러시아가 알제리를 이기는 점수차보다 2골을 더 넣어야 한다.

하지만 알제리가 승리한다면 H조 16강 진출 경우의 수는 달라진다. 한국이 벨기에전 승리 여부에 관계없이 16강 진출은 좌절된다. 반면 러시아 대 알제리전이 무승부로 끝나면 한국은 알제리와 득실차를 따져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도 알제리가 현재 한국보다 득실차에서 3골을 앞서 있어 한국은 벨기에를 큰 점수차로 이겨야 한다. 한국은 알제리에 다득점에서도 현재 열세인 만큼 확실하게 16강행을 확정짓기 위해서는 4골차 이상으로 승리해야 한다.

실낱같은 가능성만을 남겨놓게 된 16강행이지만 마지막 벨기에전을 남긴 시점에서 아직 H조 16강 진출 경우의 수가 남아있는 만큼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야 하는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60,000
    • -0.85%
    • 이더리움
    • 2,295,000
    • -4.3%
    • 비트코인 캐시
    • 497,300
    • +5.23%
    • 리플
    • 3,119
    • -0.22%
    • 솔라나
    • 185,800
    • -1.28%
    • 에이다
    • 930
    • -2.92%
    • 이오스
    • 904
    • +1.69%
    • 트론
    • 360
    • -0.55%
    • 스텔라루멘
    • 353
    • -1.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00
    • -1.69%
    • 체인링크
    • 18,400
    • -3.36%
    • 샌드박스
    • 377
    • -3.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