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한계 극복ㆍ中 성장 견제 ‘M&A 전략’ 강화…지난해부터 10개사 인수

입력 2014-08-20 0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가 공격적인 인수ㆍ합병(M&A)에 힘을 쏟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07년부터 8년간 총 21건의 국내외 기업 M&A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 중 작년부터 실행에 옮긴 M&A가 10건으로 절반에 육박한다.

삼성은 지난해 1월 이동형 CT(컴퓨터단층촬영) 장비 전문업체 뉴로로지카(미국) 지분을 100% 인수했고 같은 달 터치펜 솔루션업체 와콤에 5%의 지분 투자를 했다. 두 달 후에는 일본 샤프의 신주 3%를 취득함으로써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공급 기반을 강화하고 거래처를 다변화했다.

이어 4월에는 미국의 멀티스크린 플랫폼 개발회사 모블을 자산 인수 및 기술협력 형태로 인수했다. 석 달 후에는 스마트 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업체 복시의 인적자산을 인수했다. 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용 소재 핵심기술과 특허를 다수 보유한 독일 벤처기업 노바엘이디를 지난해 9월 제일모직 등이 주축을 이뤄 인수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최근 지난주에 미국의 사물인터넷(IoT) 개방형 플랫폼 개발업체인 스마트싱스를 인수한 데 이어 나흘 만인 지난 19일 미국의 공조제품 유통회사 콰이어트사이드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M&A는 2010년 이전까지는 주로 반도체 분야에 국한됐다. 비메모리 등 취약 부문의 경쟁력을 보강하기 위해 설계 전문업체 등을 인수하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의료장비·헬스케어, 전자소재, 디스플레이 패널은 물론 앱 서비스,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콘텐츠 등으로 M&A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인수·합병의 방식도 전통적인 법인 인수에서 벗어나 지분 투자와 인적자산 인수, 특정사업부 분할 인수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M&A 전략을 두고 중국 IT 업체들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지닌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IT 기업들은 지난해 317건의 크고작은 M&A를 성사시켰다. 2012년보다 1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알리바바, 텅쉰, 바이두 등 중국의 3대 IT 업체가 올 상반기에 발표하거나 완료한 M&A 또는 지분 투자가 총 33건, 액수로는 105억 달러(10조6800억원)에 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09: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555,000
    • +5.55%
    • 이더리움
    • 2,441,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447,500
    • +10.88%
    • 리플
    • 3,000
    • +10.91%
    • 솔라나
    • 174,900
    • +9.79%
    • 에이다
    • 929
    • +10.46%
    • 이오스
    • 1,052
    • +6.26%
    • 트론
    • 352
    • +1.44%
    • 스텔라루멘
    • 355
    • +6.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90
    • +8.16%
    • 체인링크
    • 18,540
    • +12.84%
    • 샌드박스
    • 382
    • +9.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