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 미주·유럽 등 매출 호조...2021년 인수 ‘코스알엑스’ 긍정적 영향LG생건, 중·일 매출 늘었지만 미주 감소세...‘더크렘샵’ 지분 소송전도
국내 뷰티업계 양대 산맥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해외 시장 다각화를 위해 시도한 인수·합병(M&A) 성과가 차츰 드러나고 있다.
3분기 아모레퍼시픽은 중화권 외 서구권과 아시아권 매출이 늘며 점차
LG생활건강이 2022년 인수한 미국 화장품 제조·유통사인 더크렘샵 잔여 지분 가치를 두고 국제상업회의소(ICC)의 중재절차를 밟는다.
LG생활건강은 ICC 중재판정부에 더크렘샵 잔여지분 35%를 가진 김선나 씨와 김인실 씨를 상대로 풋옵션(매도청구권) 행사 유효 확인 청구를 제기했다고 5일 공시했다.
LG생활건강은 2022년 더크렘샵 지분 65%를
LG생활건강이 올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올해 초 시작된 봉쇄령이 지속되며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침체가 이어졌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영향으로 원가 부담이 가중되는 등 경영 환경이 악화되면서다.
LG생활건강은 3분기 매출로 전년동기 대비 7.0% 감소한 1조 8703억 원, 영업이익은 44.5% 감소한
국내 화장품 업계 투톱인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이 올해 2분기 나란히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은 관련업계의 예상치를 밑도는 1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다. 2006년 상장 이래 두 번째 적자다. 이는 최대 매출 지역인 중국에서 부진한 실적을 달성한 데 따른 결과로,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은 부진 탈출을 위해 북미 등에서 사
국내 화장품 업계 투톱인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의 부진이 심상치 않다.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제품 수요 부진으로 실적이 하락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현지 업체들의 약진으로 중국에서 양사 위상은 예전만 못하다.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은 부진을 탈출하고자 세계 최대 뷰티 시장 중 한 곳인 북미 시장을 공략한다.
LG생건ㆍ아모레,
LG생활건강이 미국 뷰티 기업을 또 사들였다.
LG생활건강은 ㈜The Creme Shop(더크렘샵)을 지분 65%를 1억 2000만 달러(한화 약 148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계약 조건에는 5년 후 잔여지분 35%에 대해서도 매수할 수 있는 조건을 덧붙였다.
크렘샵은 한국계 미국인인 테라사와 로렌스 킴이 설립한 기초, 색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