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넓은 세상에서 큰 꿈을 펼쳐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필적확인 문구는 곽의영 시인의 시 ‘하나뿐인 예쁜 딸아’ 속 한 구절이 사용됐다.
필적확인 문구는 수험생들의 대리 시험을 막기 위해 매 교시 과목 답안지에 정자로 직접 따라 써야 하는 문구다.
필적확인 문구는 2005년 6월 모의평가 때 처음 등장했다. 가장 많이 인용된 시는 총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13일 수험생 예비소집이 실시된다.
수험생들은 이날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석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 등 각종 안내사항을 전달 받아야 한다. 예비소집에서는 시험장 위치와 반입 금지 물품, 시험 진행방식 등 각종 유의사항 안내가 이뤄진다.
이날 수험생들은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 과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 필적확인 문구는 양광모 시인의 ‘가장 넓은 길’의 한 구절인 ‘가장 넒은 길은 언제나 내 마음속에’로 확인됐다.
16일 오전 공개된 수능 1교시 국어 영역 시험지에는 이같은 문구가 나와있었다.
필적확인 문구는 2006학년도 모의평가부터 도입된 것으로 직전년도 수능에서 대규모 부정행위에 발생한 것에 대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수험생들은 수능 하루 전인 15일 예비소집에 참석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 등 각종 안내사항을 전달받아야 한다.
예비소집은 수험생들이 자신이 시험을 치를 시험장을 미리 확인‧점검할 수 있는 기회다. 매년 수능일마다 예비소집에 불참한 수험생들이 시험장을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 필적확인 문구는 ‘나의 꿈은 맑은 바람이 되어서’였다.
17일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5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열린 2023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문제지에는 이 같은 수능 필적확인 문구가 제시됐다. 해당 문구는 한국의 시인이자 승려,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의 시 '나의 꿈'의 일부분이다.
필적확인 문구
2005년 도입된 필적 확인 문구는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적어야 하는 문구입니다.
응시생 본인 확인뿐만 아니라 고된 수험생활을 위로, 격려하고 동시에 긴장감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도 쓰이면서 수험생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수험생들을 울린 ‘필적 확인 문구’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2021년
많고 많은 사람 중에 그대 한 사람
18일 치러진 2022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 필적 확인 문구는 이해인 수녀의 ‘작은 노래’ 한 구절인 ‘넓은 하늘로의 비상을 꿈꾸며’였다.
필적 확인 문구는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적어야 하는 문구다. 2004년 수능(2005학년도)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발생한 데 따른 대책으로 2005년 도입됐다.
응시생 본인 확인뿐만 아니라 고된 수험생
올해도 수험생 마음을 뭉클하게 하는 필적 확인 문구가 주목을 받았다. 3일 치러진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생 필적확인 문구는 ‘많고 많은 사람 중에 그대 한 사람’이다.
수능 필적 확인 문구는 대리 시험 등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2006학년도 수능에 처음으로 도입됐다. 수험생들은 시험을 치를 때마다 본인 확인을 위해 답안지에 이름과 함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 8일 목요일에 치러지고 원서접수는 8월 22일부터 시작되고 성적은 11월 28일까지 배부된다. 또 EBS 수능교재 및 강의와 수능문제의 연계율은 70%로 유지되고 영역별 만점자가 1% 수준이 되도록 출제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세부계획'을 오는 2일자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