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2조2997억 원, 영업이익 4059억 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2%, 영업이익은 34.3% 각각 감소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53.4% 각각 증가했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석유화학 흑자 전환, 전지재료 출하 물
LG화학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6094억 원, 영업이익 2646억 원의 경영실적을 달성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7%, 영업이익은 67.1% 각각 감소했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회사의 위기관리 능력을 토대로 전 분기 대비 개선된 수익성을 달성했다”며 “3대
올해도 비만치료제 시장은 장밋빛이다. 시장을 선점한 기업 외 다수 글로벌 빅파마들이 인수합병(M&A)과 라이선스인(L/I)을 통해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
8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비만약 확보를 위한 글로벌 빅파마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비만치료제는 항암제와 매출 1위를 다툴 의약품으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비만치료제 시장이 연평균 30% 성
셀트리온그룹, 다케다 아태지역 ETC 사업권 2099억에 매각
셀트리온그룹은 다케다제약으로부터 인수한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 ‘프라이머리 케어(Primary Care)’ 사업권리 중 국내 전문의약품(ETC)을 제외한 사업권을 싱가포르의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 사모펀드 CBC 그룹에 분할 매각한다고 2일 밝혔다. 총 매각금액은 약 2099억 원 규모로,
LG화학은 5일 미국 리듬파마슈티컬스(Rhythm Pharmaceuticals)와 희귀비만증 신약 LB54640의 글로벌 개발 및 판매 권리를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선급금 1억 달러(약 1300억 원), 개발 및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은 최대 2억500만 달러(약 2700억 원)로 총 계약 규모는 3억500만 달러(약 4000억 원)이다
LG화학은 미국에서 임상1상 진행중인 신약과제 ‘LB5464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유전성 비만 치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LB54640은 G단백 결합 수용체 일종인 MC4R 타깃하는 기전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다. MC4R 작용 경로에 이상이 생기면 배고픔이 지속되는
LG화학이 1조 원을 내다보는 미국 희귀비만 치료제 시장에 진출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올해 미국 희귀비만 치료제 시장은 1000만 달러(약 110억 원) 규모에 불과하지만 향후 유전자 진단검사 기술 발전 및 대중화로 2027년엔 9억 달러(약 1조원) 규모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LG화학은 미국에서 임상 1상을
LG화학이 30일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고객, 환경, 사회를 위한 혁신적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공개했다.
우선 LG화학은 지난해 1조1323억 원 규모의 연구ㆍ개발(R&D) 투자를 집행했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규모는 4% 이상이다. 전지, 바이오 영역을 포함한 중장기 R&D 과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최근 전기차의 긴 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