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스퀘어, 시즌오프 세일…자라, 어라운드 101 등 최대 70% 할인

입력 2015-01-23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타임스퀘어가 시즌오프 세일을 진행한다.(사진제공=경방 타임스퀘어)
복합쇼핑몰 경방 타임스퀘어는 패션의류, 잡화, 식음 등을 총망라한 ‘2014 FW 시즌오프’ 세일을 실시, 최대 70% 할인 판매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우선 패션 편집숍과 SPA 브랜드에서 열리는 할인 행사가 눈에 띈다. 자라, 에잇세컨즈, 미쏘, 미쏘시크릿, 조프레쉬, 어라운드 101, 플러스에스큐, 주마, 팀버랜드, 어라운드 더 코너, 칼하트에서는 최대 70% 할인된 가격으로 고객들에게 합리적인 쇼핑을 제공한다.

또한 잡화 브랜드인 액세서라이즈도 최대 70%까지 할인 판매하며 캐스키드슨은 ‘레더 트림 토트백’ 구매 시 퓨즈 드 펄스를 증정하는 더블 증정 프로모션과 신제품 가방 구매 고객에게 2015년 캘린터를 증정하는 이벤트가 열린다. 세일 기간은 재고 소진 시 까지다.

이 밖에도 타임스퀘어 이벤트홀에서는 오는 28일까지 ‘지오다노, 후아유 캐쥬얼 브랜드 라이벌전’과 ‘TNGT, LIST 겨울 아이템 초특가전’을 실시하며 빈폴, 디스커버리 매장에서는 2014 FW 상품을 최대 3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타임스퀘어 내 유명 맛집도 할인 행사에 동참한다. 버거비에서는 스마트 런치 세트를 출시해 미소버거 또는 베이컨 치즈버거와 프렌치 프라이, 음료를 할인가 8000원에 판매한다. 생 어거스틴은 사원증이나 명함을 지참한 고객에게 평일 런치를 10% 할인 판매하며 다쯔미, 딘타이펑, 온더보더, 세븐스프링스에서는 당일 CGV 영등포점 티켓 지참 고객에게 최대 2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기간은 오는 31일까지다.

타임스퀘어 영업판촉팀 윤강열 차장은 “알뜰 구매를 위해서 시즌오프 행사를 공략하는 구매 형태가 불황에 유통가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타임스퀘어는 특히, 패션 브랜드 뿐만 아니라 잡화, 식음 등 원스톱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시즌오프 행사를 진행하고 있어 고객들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13: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37,000
    • +0.13%
    • 이더리움
    • 2,380,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11,500
    • +4.37%
    • 리플
    • 3,125
    • +0%
    • 솔라나
    • 194,800
    • +2.04%
    • 에이다
    • 947
    • +0.96%
    • 이오스
    • 913
    • -4.4%
    • 트론
    • 372
    • +3.62%
    • 스텔라루멘
    • 352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100
    • +0.33%
    • 체인링크
    • 18,690
    • -0.59%
    • 샌드박스
    • 395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