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상한가]성창기업지주, 경영권 분쟁 예고에 上

입력 2015-05-06 16: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일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9개,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8개 등 총 17개사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 성창기업지주는 올 초에 이어 또 다시 분쟁이 예고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개인투자자인 강정국 씨는 지난달 30일 특별관계자 9인과 함께 성창기업지주 주식 30만3056주를 취득, 지분 5.25%를 보유하게 됐다.

강 씨 및 공동투자자는 성창기업지주의 경영권 참여 및 지배구조 개선 등을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라고 보유 목적을 밝혔다.

이번에 주식을 사들인 소액주주들은 1주당 3만2300원으로 총 97억8800만원에 달하는 거액을 투자했다. 공동투자자 9인을 살펴보면 지난 3월정기주주총회에서 감사 선임건을 상정하고 의결권을 행사한 일부 소액주주들도 다시 참여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메가스터디는 메가스터디교육과 인적분할 후 재상장한 이후 2거래일째 상한가로 장을 마감했다.

메가스터디그룹은 지난해 4월 손주은 회장과 H&Q코리아의 보유 지분 매각이 실패하면서 손 회장의 2선 퇴진과 분할상장이라는 활로를 찾았다.

새누리당의 4·29 재보궐선거 압승으로 김무성 테마주인 엔케이와 전방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섬유업체 전방은 김 대표의 부친인 고 김용주 회장이 창업한 회사로, 현재 주요 주주들이 김 대표와 친인척 관계다. 엔케이는 박윤소 엔케이회장이 김 대표와 사돈이라는 이유로 김무성 테마주로 분류되고 있다.

이 밖에 유가증권 시장에선 유니켐, 한국화장품, 베트남개발1, 에쓰씨엔지니어링, 세원셀론텍, 한국화장품제조가 상한가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로켓모바일, 큐로홀딩스, 이너스텍, 일경산업개발, 케이사인, 이스트아시아홀딩스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310,000
    • +0.34%
    • 이더리움
    • 3,266,000
    • +6.42%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4.04%
    • 리플
    • 3,293
    • +1.76%
    • 솔라나
    • 241,700
    • +5.82%
    • 에이다
    • 1,092
    • +2.54%
    • 이오스
    • 1,189
    • -0.08%
    • 트론
    • 366
    • +1.67%
    • 스텔라루멘
    • 412
    • +1.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750
    • +1.49%
    • 체인링크
    • 22,430
    • +0.58%
    • 샌드박스
    • 463
    • +4.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