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장의 품격] 스포츠 종목별 평균 연령, 프로농구 28.7세 ‘최고’…프로축구 24.7세 ‘최저’

입력 2015-06-12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 시즌 프로농구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2015 KCC 프로농구에서 활약한 국내 선수는 총 151명이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28.7세로 지난 시즌(28.0세)보다 0.7세 증가했다. 2005년 기록한 28.8세를 다시 따라잡고 있다.

올해 프로농구의 평균 연령은 3개 프로 스포츠(프로농구, 프로축구, 프로야구) 종목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에서 뛰고 있는 프로야구 선수의 평균 연령이 28.2세로 뒤를 이었다. 프로야구 역시 지난 시즌(27.2세)보다 나이가 많아졌다. 프로축구는 가장 젊은 스포츠의 영광을 차지했다. 이번 시즌 K리그 클래식에서 활약하는 선수는 총 402명으로 지난해(26.1세)보다 젊어진 24.7세를 기록했다.

이번 시즌 프로농구 우승을 차지한 울산 모비스는 ‘노장’이 주축을 이루는 대표적인 팀이다. 지금은 서울 삼성으로 자리를 옮긴 문태영(37)을 비롯해 양동근(34), 함지훈(31), 박구영(31), 박종천(36) 등 베테랑이 팀의 한 축을 지탱한다. 챔피언 결정전까지 올랐지만 아쉽게 통합 우승을 놓친 원주 동부는 평균 연령 29.7세로 가장 ‘늙은’ 팀이다. 안양 KGC의 평균 연령이 27.5세로 가장 낮았다.

문태종(40·고양 오리온스)은 가장 연령이 높은 선수에 올랐다. 이번 시즌 창원 LG에서 활약하며 50경기에서 평균득점 12.8점으로 선전했다. 창원 LG가 고양 오리온스를 꺾고 플레이오프 4강에 오르는 데 힘을 더했다.

한편 2014-2015 베스트5는 절반 이상을 ‘노장’이 차지해 프로농구를 강타한 ‘노장’의 돌풍을 짐작케 했다. 양동근·라틀리프(26·이상 울산 모비스), 김주성(36·원주 동부), 문태영·김선형(27·서울 SK)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양동근은 이번 시즌 정규리그 MVP와 수비 5걸, 최우수 수비상을 모두 챙겨 4관왕에 올랐다. 양동근은 “은퇴한 선배들이 선수 생활을 오래하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기량이 떨어지면 은퇴하고 싶다”면서도 “막상 그 순간이 찾아오면 자리를 양보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975,000
    • +1.76%
    • 이더리움
    • 2,562,000
    • +4.66%
    • 비트코인 캐시
    • 509,500
    • -0.1%
    • 리플
    • 3,209
    • +2.82%
    • 솔라나
    • 216,600
    • +4.39%
    • 에이다
    • 1,001
    • +5.15%
    • 이오스
    • 954
    • +1.81%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383
    • +3.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30
    • +1.95%
    • 체인링크
    • 21,330
    • +6.33%
    • 샌드박스
    • 423
    • +3.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