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총리 “북핵 문제 재연될 것”…사우디ㆍ이집트 등 핵개발 가능성
이란 핵협상이 14일(현지시간)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중동정세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에 빠져들게 됐다.
이스라엘은 자국에 적대적인 이란이 평화적인 이용이라고 하지만 핵이라는 수단을 갖게 된 것에 격하게 반발하고 있다. 핵협상 타결을 눈앞에 뒀던 전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페르시아어 트위터 계정을 긴급 개설해 “핵협상은 이란이 핵폭탄을 얻고 수십억 달러를 테러에 지원하는 길을 열어 준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란 정권이 더욱 강력해지고 외부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았다는 느낌을 얻게 된다면 국민에 대한 억압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앞서 네타냐후 총리는 12일 내각회의에서 1994년 북핵 제네바 합의를 발표하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동영상까지 보여주면서 “이란 핵협상이 북핵 문제를 재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모셰 야알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핵협상은 이란을 합법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문턱에 있는 국가( nuclear threshold state)’로 만들 가능성이 있는 나쁜 협상”이라며 “이란이 헤즈볼라와 하마스, 이슬람 지하디스트(성전주의자)들에 무장자금을 지원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7년 시리아의 비밀 핵시설을 폭격하기도 했다. 이란에 대한 공습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스라엘만 이란 핵협상에 반발하는 것이 아니다. 시아파 대부인 이란과 역사적으로 오랜 경쟁 관계였던 수니파 종주국 사우디아라비아의 반감도 무척 크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란 핵협상을 계기로 사우디와 이집트 등 다른 중동 국가가 일제히 핵개발에 뛰어드는 ‘핵 도미노’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사우디가 파키스탄의 재고 핵무기를 사들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사우디는 원자력 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아랍에미리트(UAE)와 달리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금지하는 이른바 ‘골드 스탠더드(gold standard)’를 거부하고 있다.
사우디는 지난 3월 한국과 원자력 협력 계약을 맺기도 했다. 여기에는 사우디 내 원자로 2기 건설을 위한 사업타당성 조사도 포함됐다. 사우디 정보기관 책임자를 역임한 투르키 알 파이잘 왕자는 당시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란 핵협상 타결은 다른 중동 국가의 핵개발을 촉진할 것”이라며 “우리도 이란과 같은 권리를 추구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